김정관,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 개최
환경장관 주장과 정면 배치
“공론화 과정서 목소리 낼 것”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신규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김 장관은 16일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신규 원전 건설 등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장관은 “원전 2기와 SMR 건설은 해야 한다는 입장이 명확하다”며 “대국민 공론화 과정을 거치면서도 해야된다고 생각을 하고 그 과정에서 산업부 입장을 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지금 당장이 아니라 2035년의 전력수요를 대비하는 것”이라며 “당장은 신규 원전 2기와 SMR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35년 이후 전력 수요를 생각해야 한다”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지난 2월 확정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2037~2038년까지 총 2.8GW 규모의 신규 원전 2기와 0.7GW 규모의 한국형 SMR 1기를 도입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이는 2015년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이후 10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이 계획에 포함된 것으로, 늘어나는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산업의 전력 수요를 안정적으로 충당하기 위한 차원이다.
그러나 이는 최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신규 원전 건설 여부를 국민 공론화로 다시 판단해야 한다고 밝힌 것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입장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원전은 실제 가동까지 15년 이상 걸리고 지을 부지도 부족하다”며 부정적 입장을 드러낸 것과도 입장 차이를 보인다.
정부 부처 간 입장차로 신규 원전 건설 지연으로 전력 생산 비용이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도 확산된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원자력 대비 태양광은 1.7배, 해상풍력은 2.6배 비싸다.
한편, 김 장관은 선업부의 에너지 전담부서가 신설되는 기후환경에너지부로 이전되는 것에 대해 “아쉽다”고 표현했다.
그는 “에너지 분야에서 일하다 장관으로 온 만큼 안타깝고 아쉽지만 정부에서 정해진 결정이라 수용할 수 밖에 없다”면서도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말했듯 산업과 에너지가 한 몸이라고 말한 것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에너지부라고 약칭하고 싶다”며 “에너지 부문이 환경을 이끌어갔으면 좋겠고 산업부와 같이 있을 때보다 떨어져 있을 때 더 잘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