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4차 고위급 무역협상 중 돌연 발표
중국 정부가 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업체인 엔비디아가 반독점법 등을 위반했다며 추가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중국이 미·중 4차 고위급 무역협상 기간에 반독점 위반 추가 조사를 공개한 만큼 대미 압박 수위를 높이려는 의도가 깔렸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15일 소셜미디어(SNS) 공식 계정을 통해 “최근 예비 조사 결과 엔비디아는 ‘중국 반독점법’과 ‘시장감독관리총국의 엔비디아의 멜라녹스 지분 인수에 대한 제한 조건부 승인 반독점 심사결정 공고’를 위반했다”며 “시장감독관리총국은 법에 따라 추가 조사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시장감독관리총국은 그러나 엔디비아가 어떤 법을 위반했는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밝히지 않았다.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는 미·중 양국이 14일부터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고 있는 4차 고위급 무역협상을 벌이고 있는 와중에 나온 만큼 미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중국 상무부는 무역협상 하루 전인 13일 미국산 아날로그칩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 또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취한 집적회로(IC) 관련 조치가 반(反)차별 조치가 아닌지 조사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4차 고위급 무역협상에선 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 매각과 유예된 양국 간 고율관세 문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 문제 등 현안을 놓고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앞서 지난달 텅쉰(Tencent)와 즈제탸오둥(Bytedance)를 비롯한 자국 기업들을 불러 엔비디아의 H20 칩 구매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고, 정보보안 위험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또 중국의 사이버 공간 규제 당국은 지난달 엔비디아 관계자를 소환해 엔비디아가 중국기업용으로 맞춤 설계한 H20 칩이 중국 사용자 데이터와 개인정보를 빼내 갈 수 있는 보안 ‘백도어’(암호화 데이터를 풀 수 있는 우회 경로) 위험에 관해 설명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미국이 중국의 140개 기업을 수출 제한 대상에 추가하고 AI 반도체 개발에 필수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대중 수출금지를 발표하자 곧바로 엔비디아 조사에 착수했다. 엔비디아는 2019년 이스라엘의 반도체회사 멜라녹스를 69억 달러(약 9조 5800억원)에 인수했고,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은 이듬해 4월 이를 조건부로 승인했다.
여기에는 중국 시장에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가속기와 멜라녹스 고속 네트워크 상호연결 장비, 관련 소프트웨어·액세서리를 계속 공급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하지만 엔비디아는 이후 미 정부의 수출통제를 근거로 중국에 GPU 가속기 제품 공급을 중단했다. 이에 중국은 반독점법 등을 위반한 혐의로 엔비디아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