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AI 역량 강화 교육 출범식
KAIST AI 대학원 연계…AI교육 출범
실습 중심…정책업무 AI 활용 제고
정부가 인공지능(AI) 대전환을 이끌어 갈 AI전사를 육성한다.
기획재정부는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재부 AI 역량 강화 교육’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출범식에서 “전세계적으로 AI 대전환이 가속화되면서 AI는 국가경쟁력과 미래먹거리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며 “AI 활용능력은 초혁신경제 구현을 이끌어나갈 공무원이 갖춰야 하는 기본 소양이다. AI 교육을 최첨단 업무 역량을 향상시킬 좋은 기회로 여기고 열심히 교육에 임해달라”고 강조했다.
이번 AI 교육과정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AI 대학원과 연계한 실습 중심의 체계적인 전문과정으로 운영된다.
교육기간은 오는 12월 16일까지며 교육은 총 8회차로 진행된다.
장동인 KAIST AI 대학원 책임교수가 전담하며 교육과정은 ▲대형언어모델(LLM) 도입 및 활용 ▲AI 코딩 실습 및 애플리케이션 제작 ▲챗봇 구현 ▲검색증강생성(RAG) 기술 활용 ▲AI 에이전트 및 워크플로우 구현 ▲머신러닝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등으로 구성됐다.
구 부총리는 “경제 전 분야를 아우르는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기획재정부 업무 특성상 AI 기술과 접목할 때 막대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다”며 “AI의 눈을 이용해 데이터를 보면 정책에 깊이를 더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AI의 핵심인 방대한 데이터 처리 능력과 정교한 패턴 분석 기술을 업무에 적극 활용, 정책의 효과성과 정확성을 한층 더 높여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교육을 통해 기재부 직원 한 명 한 명이 AI 전사로 거듭나 정부 전체, 나아가 국민의 삶에 AI 혁신을 이끌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기재부는 지난 2월 ‘ChatGPT’와 ‘Perpelxity’를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체 플랫폼인 AI 허브를 정부부처 최초로 구축한 바 있다.
이달 중에는 AI 정보와 경험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MOEF AI 라운지’를 신설해 AI 학습 문화 확산에도 나설 예정이다.
기재부는 앞으로도 AI 대전환 시대에 걸맞은 조직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성과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