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달버스 첫 탑승자는 도담학교 학생과 학부모들’
“집안에만 있지 말고 밖으로…장애인기회소득 만들어”
경기도민 가운데 ‘달달버스’ 첫 탑승자가 나왔다.
26일 양주시에 있는 경기북부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북부 누림센터)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만난 도담학교의 학생들과 엄마들이다.
도담학교는 지체·지적·자폐성 장애 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육기관이다.
김 지사는 북부 누림센터를 찾아 정성원 작가, 도담학교 학생 및 엄마 10여명과 만났다. 이번 누림센터 방문은 2023년 개소식 후 2년 만의 재방문이다.
김 지사는 인사말에서 “딱 2년 전 첫 개관했을 적에 왔었는데, 우리 장애인들을 위한 북부의 훌륭한 중심이 만들어져서 얼마나 기뻤는지 모른다”고 말했다.
북부 누림센터는 지하 1층·지상 4층, 연 면적 6520㎡ 규모로 △경기도 장애인 생산품 전시장 △경기도 시각장애인복지관 △경기도 보조기기 북부센터 △경기북부 장애인권익옹호기관 △경기북부 장애인가족지원센터 △경기북부 점자도서관 등이 다양하게 입주해 있다.
김 지사는 “제가 머리털 나고 그림 산 게 딱 두 점인데, 첫 번째는 황진호 작가 작품이고 두 번째는 이창옥 작가 작품”이라며 “한 점은 발달장애인인 화가가, 다른 하나는 지적장애인 화가분이 그린 그림인데 모두 제 방(사무실)에 걸려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경기도가 우리 장애인 모든 분들에게 얼마나 진심이고, 열과 성을 다해서 함께하려 하는지 그 마음을 알아주셨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경기도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서 가장 행복하고 또 차별받지 않고, 또 제발 집 안에만 있지 말고 바깥에 나오게끔 하려고 ‘장애인 기회소득’을 만들었다. 장애인, 비장애인이 어울려서 잘 사는 세상을 꼭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기회소득은 중위소득 120% 이하 중증장애인(13~64세)을 대상으로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건강 활동 인증(주 2회) 시 월 10만원(연 120만원)을 지급하는 제도다. 2023년 5836명, 2024년 1만904명이 참여했고, 2025년 6월까지 누적 참여자가 2만7031명에 달한다. 참여자의 만족도는 지난해 86.7%로 집계됐다.
기회소득 말고도 장애인에 대한 김 지사의 진심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있다.
2년 전인 2023년 5월 30일 경기도청 1층 로비에서는 ‘인공지능(AI) 창작단’의 작품 30점의 전시회가 열렸다.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은 발달장애인들에게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술 활동 교육을 제공한 바 있다. 그 작품을 전시하는 행사였으니 주인공은 발달장애인들이었다. 그런데 행사의 ‘테이프커팅’ 순서에 정작 장애인들이 없었다.
김 지사가 즉석에서 발달장애인 학생들을 옆으로 불러 함께 테이프커팅을 하게 했다. 모두 흰 장갑을 끼고 가위로 테이프를 자르는 순서였다.
그런데 장애 학생에게는 장갑에 손가락을 넣는 일조차 쉽지 않았다. 김 지사가 직접 장갑을 끼워주려 했으나 학생은 힘겨워했고, 당혹스러운 표정이 역력했다. 그러자 김 지사가 “제가 장갑을 벗겠습니다”라고 말했다.
김 지사와 학생은 맨손으로 함께 가위를 잡고 테이프를 잘랐다. 김 지사가 밝힌 ‘장애인, 비장애인이 어울려서 잘 사는 세상’이란 테이프 커팅 때 함께 장갑 벗을 수 있는 사회라고도 할 수 있다.
김 지사와 도담학교 학생, 부모들은 정성원 작가의 밑그림(여우)을 함께 채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 지사와 학생, 엄마들의 손을 거쳐 무색의 여우가 주황, 노랑, 파랑, 하늘색을 가진 예쁜 여우로 완성됐다. 이 자리에서 엄마들이 “달달버스를 타보고 싶다”고 하자 김 지사가 흔쾌히 받아들여 도담학교 학생과 부모들이 도민 가운데 달달버스를 가장 먼저 타보게 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