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대응 바우처 900여개→1300여개사 확대…해외 거점 이전·OEM 발굴 등 지원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입력 2025.08.19 11:00  수정 2025.08.19 11:00

20일 온라인 설명회 개최

신청 접수 후 3일 이내 선정 여부 안내…'패스트 트랙' 마련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본사 전경.ⓒKOTRA

미국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관세대응 바우처'가 900여개사(社)에서 1300여개사로 확대된다. 또 해외거점이전과 위탁생산(OEM) 발굴 등에 대한 추진된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미국 관세 협상 타결 후속 조치로 관세 애로를 겪는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위한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를 위해 20일 오전 10시 온라인 설명회를 열어 사업개요, 신청 요건, 신청 방법 등을 상세히 안내한다.


KOTRA는 지난 4월과 6월, 대미(對美) 직·간접 수출기업과 중간재 해외 수출기업 900여개사를 관세대응 바우처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번에는 전 세계 직수출 기업과 대미 수출 준비 중인 내수기업까지 범위를 넓혀 총 1300여개사 내외를 선정할 예정이다.


특히 2024년 기준 수출 200만 달러 이상 또는 대미 직수출 20만 달러 이상 기업 대상으로 신청 접수 후 3일 이내 선정 여부를 안내하는 '패스트 트랙'을 마련한다. 패스트 트랙에서 탈락해도 일반 트랙을 통해 재평가 받을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


한편 현재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에 참여 중인 기업들은 해외전시회, 국제 운송, 해외 인증 등 기존 인기 메뉴 외에도 KOTRA 해외무역관이 선별한 전문가를 활용한 '관세대응 패키지'를 이용하고 있다.


일례로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A사는 '해외 생산거점 진출지원 조사·컨설팅'을 통해 미국 자동차공장 설립 기초조사를 진행 중이다. KOTRA는 미국 대형 부동산 전문기업과 협업해 이 조사를 지원 중이다.


소비재 기업 B사는 공급망 다변화와 신규 생산거점 확보를 위해 '해외 생산파트너(OEM) 발굴 조사' 서비스를 활용해 글로벌 사우스 지역에서 새로운 파트너를 찾고 있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관세 협상 타결로 우리 기업들은 새로운 기회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며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이 대체시장 발굴과 생산거점 이전 등 수출 해법 마련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