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 '서울런', 전국 확산 가속화…강원 태백시와 5번째 동행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입력 2025.07.28 14:59  수정 2025.07.28 15:01

9월부터 취약계층 청소년 500명 대상 '공공교육플랫폼 연계 온라인 학습지원 사업' 시작

열악한 교육환경으로 인한 인구 유출 완화, 지역 내 청소년 자립과 정착 기반 마련한단 방침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4월8일 오전 서울 금천구 독산로 한 공부방에서 열린 2025년 서울런 학생 초청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뉴시스

서울시 대표 교육복지 정책인 '서울런'이 전국 확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시는 28일 강원 태백시와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서울런 플랫폼을 공동 활용해 지역 청소년 500명에게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협약식은 이날 오후 서울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상호 태백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지난해 12월 충청북도를 시작으로 평창군, 김포시, 인천시에 이어 이번 태백시까지 서울런 플랫폼을 도입한 지자체는 5곳으로 늘었다.


이날 협약으로 태백시는 오는 9월부터 취약계층 청소년 500명을 대상으로 서울런 플랫폼을 공동 활용한 '공공교육플랫폼 연계 온라인 학습지원 사업'을 시작한다.


태백시가 교육부로부터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이후 처음 추진되는 온라인 학습 복지 사업으로, 열악한 교육환경으로 인한 인구 유출을 완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지역 내 청소년의 자립과 정착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또 태백시 청소년 이용자들의 학습 관리를 위한 '서울런 멘토링 프로그램'과 우수 학습자에게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서울런 앤 점프', '미국 예일대 썸머캠프' 등 다양한 지원을 할 예정이다.


태백시에 앞서 서울시와 협약을 맺은 지자체들은 올해 순차적으로 운영을 시작하거나 사업 운영을 추진 중이다.


충북도는 도내 6개 인구감소지역(제천·보은·옥천·영동·괴산·단양) 청소년 14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콘텐츠, 멘토링, 기숙형 교육 서비스 등 복합형 서비스를 하반기 중 선보인다.


평창군은 지난 3월부터 초·중·고교생 220명이 참여하는 '평창런'을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런 플랫폼 내에 전용 메인페이지를 개설해 온라인 학습콘텐츠와 맞춤형 진로·진학 컨설팅 등을 제공하고 있다.


김포시는 사교육 부담이 높은 지역 특성을 반영해 중위소득 50% 이하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콘텐츠와 멘토링을 지원하고, 점진적으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인천시도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서울런 도입을 준비 중이다.


시는 지난해 9월과 올해 6월 두 차례에 걸쳐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서울런 정책설명회를 열어 운영 사례와 정책 성과를 공유했다. 총 26개 지자체가 참석해 서울런 정책 도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하반기에도 서울런 도입을 고려하는 지자체들을 상대로 찾아가는 정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그동안 3만명 넘는 학생에게 온라인 강의뿐 아니라 인생의 터닝포인트를 전해준 '서울런'이 이제 '대한민국 교육복지 모델'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서울런이 지방이기에 더 절실한 교육 기회의 사다리가 돼주길 바라며, 시는 더 많은 학생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놓아주기 위해 더욱 힘써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