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37개 지역으로 확대…284명 의사 참여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입력 2025.07.22 15:26  수정 2025.07.22 15:27

보건복지부 전경. ⓒ데일리안DB

치매 환자의 지역사회 내 치료와 관리를 지원하는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이 22일부터 전국 37개 시군구에서 확대 시행된다. 참여 의사는 총 284명으로 늘었다.


보건복지부는 22일부터 기존 22개 시군구에서 시행하던 시범사업을 15곳을 추가해 총 37개 지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참여 의사 수는 기존 219명에서 284명, 의료기관은 174곳에서 227곳으로 증가했다.


이 사업은 치매 환자가 거주지 인근 의료기관에서 치매 증상뿐 아니라 만성질환 등 전반적인 건강문제를 함께 치료·관리받을 수 있도록 돕는 모델이다.


의사는 연 1회 포괄평가를 통해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우고, 대면 교육·상담(최대 연 8회)과 전화·화상 등 비대면 관리(최대 연 12회), 방문 진료(최대 연 4회) 등을 제공한다. 환자는 치매전문관리와 통합관리 중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인부담률은 20%(중증치매 10%)다.


이번에 새로 참여하는 지역은 서울 관악·은평구, 부산 금정구, 대구 수성구, 인천 미추홀구, 대전 대덕구, 울산 중구, 경기 성남·화성시, 충북 영동군, 전북 군산시, 경북 김천시, 경남 거제시·남해군, 제주 서귀포시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관은 “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치매 환자는 매년 늘어나는 추세”라며 “내년에는 시범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해 치매의 중증화를 예방하고 더 많은 치매 어르신들이 사시던 곳에서 필요한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