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 건수도 28만 건 육박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배·1.9배 증가
답례품 판매, 산불피해 지역 중심으로 활발
2025년 고향사랑기부제 상반기 누적 모금액이 약 349억원을 돌파했다.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한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16일 고향사랑기부 상반기 모금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 고향사랑기부 모금액은 모두 348억8000만원, 기부 건수는 27만900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상반기 대비 모금액 기준 1.7배(2024년 199억8000만원), 건수 기준 1.9배(2024년 14만8000건) 이상 증가한 수치다. 제도 시행 3년 차에 접어든 올해 기부 참여가 본궤도에 올랐다는 게 행안부 설명이다.
특히 온라인을 통한 모금이 전체의 85.1%에 해당하는 297억원(25만7000건)을 차지했다. 오프라인 모금도 51억8000만원(2만2000건)으로 소폭 증가했다.
기부 급증은 올해 3월과 4월 집중된 대국민 산불 피해 기부 운동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기간 특별재난지역 8개소에서만 82억원이 모금돼 당시 전체 모금액의 44.6%를 차지했다.
기부금액별 분석을 보면 세액공제 한도인 10만원에 해당하는 기부는 전체 83.9%인 23만4000건으로 여전히 대중적 참여가 압도적이다. 500만원 이상 고액기부는 775건으로 소폭 증가했다.
기부 한도가 올해부터 2000만원으로 상향됨에 따라 500만원 초과 2000만원 미만 기부는 144건, 2000만원 기부는 39건이 접수돼 제도 개선 효과가 수치로 나타났다.
고향사랑기부 시행에 따른 지역경제 회복 효과도 뚜렷하다. 상반기 지방자치단체 답례품 판매액은 약 91억8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73% 증가했다.
가장 많이 판매된 답례품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명품 은갈치 선물세트’로 총 2119건이다.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 하늘아래 꿀사과’가 1801건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청송, 의성, 안동 등 산불피해 지역 특산 답례품이 판매량 상위권에 포함된 것이 눈길을 끈다.
지난해 6월 도입된 지정기부제도는 제도 안착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성과를 보였다. ‘고향사랑기부금법’ 개정에 따라 시행된 지정기부는 현재까지 약 123억원을 모금했다. 상반기 중 123개 지자체 사업이 모금에 참여했다. 그 중 22개 사업은 목표 모금액을 달성했다.
대표 사례로 전라북도 고창군은 ‘청소년 앞날창창 프로그램’ 사업으로 6000만원을 모아 장학재단을 통해 사회적 배려 청소년의 해외문화체험 기회를 마련했다. 경상남도 산청군은 ‘청소년 관악합주단 후원’ 사업으로 청소년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 정기 공연을 통해 지역 사회와의 교류도 활성화하고 있다.
한편 행안부는 하반기 제도 개선 사항으로 오프라인 이용자 편의를 고려한 기부·답례품 원스톱 신청 절차를 도입한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농협 창구를 통해 기부 후 ‘고향사랑e음’ 누리집에 온라인으로 접속해 응답품을 신청해야 했던 절차가 간소화된다.
휴대폰이나 인터넷 접근이 어려운 이들도 오프라인 창구에서 기부와 신청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 고향사랑e음 누리집을 통한 기부 확인증 발급 등 서비스 개선도 이뤄진다. 민간 플랫폼은 농협은행, 웰로 등 기존 8개사 외에도 추가 개방을 통해 접속 경로를 다양화해나갈 계획이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한 지속적인 국민적 관심에 감사드린다”며 “기부가 지역문제 해결과 지역경제 회복을 이끄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제도 정비와 활성화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