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로 불리던 붉은등우단털파리가 7월 중순이면 자취를 감출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이미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된 해충이 곧 등장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러브버그 이전에 외래종 해충이 대발생하면서 농가 등에 막심한 피해를 줘 골머리를 앓았었다. 그 중 꽃매미,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등이 대표적 해충이다.
'꽃매미'는 한국, 중국 등 동아시아가 원산지인 해충으로, 몇 년 사이 국내 농가와 산림 생태계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성충은 몸길이가 2.5~2.8cm 정도다. 앞날개는 회색 바탕에 검은 반점이 있고, 뒷날개는 붉은색과 흰색, 검은색이 뚜렷하게 나뉘어져 있다.
주로 포도, 사과, 배 등 다양한 작물과 나무 수액을 빨아먹는다. 이에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고, 단물 배설물인 감로로 인해 곰팡이(그을음병)가 생겨 상품성과 수확량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천적이 없을 뿐더러 번식력이 높아 빠르게 확산된다. 국내에서는 2004년 처음 발견돼 2006년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됐다.
'갈색날개매미충'은 외래 해충으로, 한국에서는 1998년 경북 안동에서 처음 발견됐다. 원산지는 중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이다.
몸길이는 약 1.2~1.7cm로, 몸은 회갈색, 날개는 갈색이며, 등 쪽은 대리석 무늬가 있다. 사과, 배 등 광범위한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 한국 뿐 아니라 미국, 유럽 등지에서도 농업 재난 수준의 해충으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선녀벌레'는 북미가 원산지인 외래 해충으로, 국내에서는 2009년 처음 발견됐다.
몸길이는 7~8mm로, 성충은 전체적으로 회백색 또는 청회색의 가루로 덮여 있다. 털이 많고 흰 왁스물질을 분비해 솜뭉치처럼 보인다.
포도, 감 등 다양한 작물의 수액을 빨아 먹으며, 빨아 먹은 자리에는 감로로 인해 그을음병이 생가기게 된다. 이로 인해 잎과 열매를 검게 만들어 광합성을 방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8~10월에 성충이 활발하게 활동하므로 이때 집중 방제를 해야 효과적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