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선 긴급 정비·응급 환자 이송 등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지난 1일부터 자성대 부두 일부 선석을 부산항에 입출항하는 외항 컨테이너선 긴급 정비와 응급 환자 이송 등을 위한 비상용 공용 선석으로 한시적 운영을 시작했다.
BPA에 따르면 북항재개발 2단계 사업 대상지인 자성대 부두는 지난해 말 컨테이너터미널 기능을 종료했다. 현재는 육상부 유휴 시설을 신항 개장 부두(2-6단계) 하역 장비 제작장 등으로 임시 활용 중이다.
애초 선박 접안 선석부는 보안 구역 해제 후 외항 컨테이너선의 이용이 중지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접안 시설 부족에 대한 국내외 선사와 해운협회, 수리조선업계의 지속적인 유휴 선석 활용 요청이 이어졌다.
BPA는 이에 부산항 효율적 운영을 위해 자성대 부두 선석 운영 방안을 재검토했다. 부산항 기항 선사들을 대상으로 선석 이용 수요 조사도 했다. 그 결과 약 92%의 선사가 선석 사용 의사가 있는 것으로 확인해 한시적 운영을 결정했다.
외항선이 자성대 부두 선석에 접안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터미널과 같이 보안 구역을 유지해야 한다. BPA는 연간 약 14억원 비용을 들여 선사 편의 제공과 항만 연관 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북항재개발 착공 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자성대 부두 선석을 이용 대상은 부산항에 입항하는 컨테이너선으로서 운항 중 긴급 선내 정비(간단 수리 동반), 선박 검사, 선원 응급 환자 이송, 정부 조사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다.
이용 시간은 최대 48시간이다. 긴급 시 24시간 연장할 수 있다.
송상근 BPA 사장은 “이를 통해 부산항 이용 편의성 제고뿐만 아니라, 북항 내 부두 및 정박지의 혼잡도 개선과 항만 연관 산업체 매출 증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파급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