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KOPIA 몽골 축산 선진화 비전’ 출범식
가축 생산성 향상·기생충 관리 기술 소개
한국 축산 기술을 몽골 현지에 전수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동물약품을 수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농촌진흥청은 7월 1일 몽골 다르항에 있는 식물농업과학원에서 양국 주요 인사를 비롯해 수의사, 축산 관계자 등 약 150명이 참석한 가운데 ‘KOPIA 몽골 축산 선진화 비전 출범식’을 개최했다.
우리 측에서는 임기순 국립축산과학원장, 최진원 주몽골 대사 등이 참석했고, 몽골 측에서는 자담반 엔흐바야르 몽골 농업부 장관, 아유쉬자브 나란투야 수의청장, 마르가드 감브랄 몽골 생명과학대학교 총장 등이 자리를 빛냈다.
이날 출범식에서는 KOPIA 몽골센터가 2022년부터 추진해 온 가축 생산성 향상 시범 사업 성과와 올해 추진사업 내용을 공유했다. 이어 ‘KOPIA-몽골 10개 지방정부-한국발명진흥회’ 협력 기반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특히 몽골 농가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고자 마련한 소형 농기계 기증식이 열려 참석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자담반 엔흐바야르 몽골 농업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몽골에서 축산업은 농업 총생산량의 약 86.1%를 차지할 정도로 주력 산업이지만, 축산 기술 수준이 낮은 데다 기후변화, 초지 황폐화 등의 문제로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KOPIA와 협력해 현대 축산 기술을 도입하고, 몽골 축산업이 다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수출농업기술과에서는 ▲한국형 우량 유전자원 ▲조사료·첨가제 활용 배합 기술 ▲현대식 낙농 기술의 몽골 실증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국립축산과학원이 지난 3월 몽골 6개 지역에서 수행한 질병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외부 기생충 관리 ▲유방염·피부염 관리 ▲항생제 활용 염증 치료 ▲전염병 예방을 위한 백신 기술 등을 소개했다.
국내 동물약품 기업 3개 사는 자사 기술력과 제품 효능을 상세히 소개하며 실질적인 수출 성과 창출에 주력했다.
임기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장은 “이번 출범식을 계기로 KOPIA 사업을 통한 현지 맞춤형 축산 기술 보급과 지속 가능한 축산물 생산 체계 구축이 본격화됐다”며 “앞으로 질병 관리, 가축 개량, 동물 사료를 포함한 케이(k)-축산 기술을 지속 보급, KOPIA 몽골 사업이 대한민국 공적개발원조 대표 사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