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시는 분당 신도시 정비구역 선정 방식을 주민 다수가 선호하는 '입안제안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고 1일 밝혔다.
시는 지난 5월 한 달간 지역 공동주택 연합회, 선도지구 공모 신청 구역 주민대표, 특별정비예정구역 주민대표, 재개발·재건축추진지원단 민간 전문가 등과 총 5차례 간담회를 열고, 주민 자율성과 신속성 측면에서 ‘입안제안 방식’에 대한 선호 의견이 많음을 확인했다.
이어 6월 23일부터 29일까지 분당 신도시 주민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입안제안 방식'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64%로 가장 높았고, 공모방식은 31%, 모르겠다는 의견은 5%로 나타났다. 선도지구 공모 평가기준(이주대책, 장수명 인증, 추가 공공기여) 폐지 의견도 75%에 달했다. 총 1만 2500여 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입안제안서 접수 시기와 관련해선 '접수 안내 공고 후 6개월'이 적절하다는 답변이 63%로 가장 많았다. 기반시설 반영 항목으로는 복합문화시설(23%)이 가장 선호도가 높았고, 교통시설(16%), 공원(13%)이 뒤를 이었다.
입안제안 방식에 따른 비용 부담 우려와 관련해 시는 "“정비구역으로 선정되지 못해도 작성한 정비계획서를 다음 해 선정 시 활용할 수 있고, 용역사와 협약을 통해 전체 용역비의 일부만 초기 부담하고 사업비에서 정산하는 방식도 가능하다"며 "실제 부담은 주민들이 우려하는 수준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남시는 이번 간담회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주민 자율성을 보장하고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 방향을 마련해 국토교통부, 경기도와 협의한 뒤 2025년 정비구역 선정계획을 확정·공고할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