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서 환영사
"소수의 대형 IP 위주 시장 재편 지속"
본질인 '재미'에 집중해 사업 전략 수립
"여러 타이틀 성과, IP에 대한 철학 시사"
이정헌 넥슨 일본법인 대표가 게임산업이 대형 IP(지식재산권) 위주로 뚜렷하게 양극화되고 있다고 최근 상황을 진단하며, 이럴 때일수록 게임의 본질인 '재미'에 집중한 사업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24일 오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NDC(넥슨 개발자 콘퍼런스) 25'에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소수의 대형 IP 중심의 시장 재편이 가속화되면서 산업 전반의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며 "여기에 생성형 AI(인공지능), 웹3, UGC(사용자 창작 콘텐츠) 등 새로운 기술 흐름까지 더해지면서 게임을 만드는 과정은 점점 더 복잡하고 정교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존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기대 수준도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고, 단순히 게임 플레이를 넘어 콘텐츠를 어떻게 소비하고 공유하는지 등 이용자 경험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며 "이럴 때일 수록 오히려 기본에 집중해야 한다. 결국 이용자는 재미있는 게임을 기억하고, 이러한 게임을 다시 찾는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자신이 깨달은 게임산업의 본질이 넥슨의 사업 전략에 녹아들어 있다고 설명했다. 전사적으로 '재미의 본질'에 더 깊이 다가가고자 했고, 그 재미를 오래 더 많은 이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고민을 지속했다는 것이다.
그는 "넥슨은 이용자 기대와 기술 환경의 변화 속에서 게임 개발과 라이브 서비스를 꾸준히 발전시켜왔다"며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며 데이터 기반의 분석 체계와 정교한 운영 시스템을 고도화했고, 오랜 기간 축적해 온 노하우는 넥슨만의 콘텐츠 운영 전략을 든든히 뒷받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넥슨은 이같은 전략에 기반해 '던전앤파이터', '메이플스토리', 'FC온라인', '마비노기' 등 핵심 IP 중심의 콘텐츠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출시한 신작 '퍼스트 버서커: 카잔'과 '마비노기 모바일'은 각각 던전앤파이터, 마비노기 IP를 기반으로 하는 게임들이다.
이 대표는 "다양한 타이틀의 성과는 넥슨이 추구하는 철학과 전략이 하나의 IP를 어떻게 확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해 나가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며 "이번 NDC 25에서는 넥슨의 고민과 방향성을 나누고자 한다. (개발 과정에서) 서로의 영역을 이해하고 경험을 나누는 과정은 단순히 정보 교류를 넘어 실질적인 해법을 함께 찾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언급했다.
올해 NDC 25는 IP 분야를 신설해 총 10개 분야에서 49개의 세션을 준비했다. 오버워치2, 승리의 여신: 니케, 쿠키런: 킹덤 등 국내외 유명 IP 사례를 포함해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여러 기술을 주제로 한 세션을 진행한다.
이 대표는 "우리가 만드는 게임은 누군가의 일상에 위로가 되고 즐거움이 되며 삶 속에 오래도록 기억되는 특별한 순간이 되기도 한다"며 "올해 NDC가 게임이 지닌 특별한 가치를 다시금 되새기고 서로의 경험을 통해 의미있는 통찰을 나눌 수 있는 시간이 됐으면 한다"고 했다.
한편, 넥슨은 이날부터 오는 26일까지 넥슨 사옥과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NDC 25를 개최한다. 2019년 이후 6년 만에 공개 오프라인 행사로 진행되며, ▲IP ▲게임기획 ▲프로그래밍 ▲비주얼아트&사운드 ▲프로덕션&운영 등의 분야에서 발표 세션을 진행할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