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별관 컨퍼런스홀에서 개최한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찰스 에반스 미국 시카고 연방준비제도 전임 총재가 '통화정책의 핵심 책무: 연준의 2025년 정책체계 검토에 관한 시사점'을 발표했다.ⓒ한국은행
정책의 성공 유무는 궁극적으로 정책 당국의 강력한 리더십과 간결한 체계에 좌우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한국은행이 별관 컨퍼런스홀에서 개최한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찰스 에반스 미국 시카고 연방준비제도 전임 총재는 '통화정책의 핵심 책무: 연준의 2025년 정책체계 검토에 관한 시사점'을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행사는 '경제 구조 변화와 통화정책'을 주제로 미국의 경제 전망과 물가안정목표제, 인구구조 및 재정, AI가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룬다.
에반스 총재는 발표에서 미 연준의 통화정책 체계가 코로나를 거치며 복잡해졌고, 이는 정책 효율성을 저하시킨다고 지적했다.
그는 "연준이 2012년부터 명시적 2% 인플레이션 목표와 이중책무라는 간결한 구조로 기대 인플레이션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며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평균물가목표제, 고용 부족분 중심 접근 등 다양한 목표를 추가하며 복잡해졌다"고 말했다.
이러한 문제점에 올해부터는 간결한 통화정책으로의 복귀가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1월 FOMC 회의록에서 파월 의장이 합의 성명서를 통해 간소화 방향을 시사했다"며 "이러한 간결 통화정책 체계의 운영을 위해서는 연준과 정책위원회의 강력한 리더십과 독립적 의사결정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통화정책은 금리 조정이라는 단일 채널만으로 물가와 고용 안정을 동시에 달성해야 하므로 이미 충분히 도전적"이라며 "여기에 금융안정 목표까지 추가하면 정책 목표 간 충돌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특히 간결한 운영을 위해서는 심층 연구 분석과 정확한 인플레이션 예측 능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 19에서는 전통적 예측 기법의 한계가 드러났다"며 "공급과 수요 충격의 변화를 신속하게 식별하고 예측 불확실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짚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