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은 27일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에서 특송물품 및 국제우편 분야 AI 위험관리시스템 개발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해외직구, 특송물품을 통한 불법 물품 반입 차단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
지난 2024년 한해 해외직구를 통한 수입은 총 1억8000만건으로 2022년 대비 88% 급증했다. 특송물품·국제우편을 통한 마약류 등 불법 물품의 반입도 증가하는 추세로, 특송물품과 국제우편에 대한 정밀한 위험관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관세청은 2021년부터 순차적으로 일반 수입, 화물, 여행자, 개인수입 분야에 AI 기술을 활용한 위험관리시스템을 개발해 실제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2024년 정부혁신 왕중왕전에서 ‘빅데이터·AI 활용 디지털 관세행정 본격 수행 사례로 행정안전부 장관상(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개발된 AI 위험관리시스템은 신고 즉시 정보분석이 완료될 수 있도록 정보분석 시간을 단축시킬뿐만 아니라 일반 수입화물의 위법 물품 적발률도 향상시켰다. 특히 밀수 정보 없이 AI를 활용한 정보분석만으로 여행자의 마약 밀수를 적발하는 등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동시에 위험도가 낮은 물품의 경우에는 자동 통관이 됨으로써 통관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번에 개발하는 시스템은 관세청이 축적한 각종 신고 정보와 적발 데이터를 활용하여 업체·물품·공급망 등 우범패턴을 통계화해 AI 알고리즘을 만들고 해당 알고리즘이 특송물품 및 국제우편 물품의 위험도를 실시간 분석·평가하게 된다.
특히 신종 위험도 자동학습 기능을 활용해 물품의 위험도를 지속적으로 유형화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정제 기능을 통해 누락되거나 부정확한 신고 정보 속에서도 우범 요인을 정확하게 찾아내 불법 물품 선별 정확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관세청은 이렇게 개발된 AI 위험관리시스템을 통해 정밀한 선별에 기반, 고위험 물품은 집중적으로 검사하고 정상 물품은 신속하게 통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송물품 및 국제우편 분야 AI 위험관리시스템 개발은 올해 말 완료돼 내년 1월부터는 세관 통관 현장에서 본격 활용될 예정이다.
관세청 관계자는 “AI 위험관리 시스템은 국민 안전을 지키는 디지털 관세행정의 핵심 축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AI·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활용해 신속하고 안전한 통관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