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OK저축은행 등 10곳 현장검사…PF부실 정리·연체율 점검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입력 2025.05.18 09:09  수정 2025.05.18 09:12

OK저축은행 첫 타자…하반기까지 10여곳 현장검사

통상 검사 인력 규모 대비 2~3배 인원 현장 투입 예정

금융감독원이 OK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저축은행 10여곳에 현장검사에 나선다. ⓒ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OK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저축은행 10여곳에 현장검사에 나선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추진 과정에서 부실 사업장 정리를 미루고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저축은행들이 대상이다.


18일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번주 자산 규모 2위 OK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현장검사에 돌입한다. 금융당국은 올 하반기까지 10여곳을 선별해 현장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그간 현장점검이나 예금보험공사와의 공동검사를 위주로 저축은행 건전성을 관리해왔던 금감원이 직접 칼을 빼든 것으로 보인다.


특히 OK저축은행에는 13조원대의 자산 규모를 감안해 대규모 검사 인력을 투입한다. 통상적인 저축은행 검사 인력 규모(6~7명) 대비 2~3배에 달하는 인원이 현장에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를 통해 부실 정리와 충당금 적립 등 건전성 및 리스크 관리 전반을 살펴볼 계획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6월부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바꾸고 부실 사업장의 신속한 정리를 유도해왔다. 하지만, 일부 저축은행은 부실 정리가 지연되면서 연체율이 꺾이지 않고 있다.


OK저축은행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이 9.05%를 기록했는데, 이는 업권 평균(8.52%)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SBI저축은행(4.97%), 웰컴저축은행(7.50%), 애큐온저축은행(5.36%), 한국투자저축은행(8.13%) 등 다른 5대 대형사와 비교해서도 높다.


금융당국은 OK저축은행이 부실 자산 정리에는 소극적이면서도 인수·합병(M&A)을 통한 외형 확장 시도에는 적극적인 점에도 문제 의식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저축은행업권 현장 검사는 오는 예금보호한도 상향과 맞물려 건전성 감독을 강화하려는 선제 조치로도 해석된다. 오는 9월 1일 예금보호한도가 24년 만에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될 경우 은행권에 비해 높은 수신금리를 제공하는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권으로 '머니무브'(자금 이동)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2금융권에 과도한 자금이 몰릴 경우 부동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고위험 분야 투자가 다시 자극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79곳 저축은행에 연체율 관리 목표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상태다. 오는 19일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와 임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건전성 관리 워크숍도 연다.


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8.52%로 전년 말(6.55%) 대비 1.97%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2015년 말(9.2%)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다.


PF성 대출 연체율은 18.9%로 2023년 말(8.6%) 대비 10%포인트 이상 올랐고, 일반기업 대출도 같은 기간 7.6%에서 9.0%로 올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현장'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