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해수부 부산…대통령실, 용산 먼저
김동연, 해양수산부 '인천' 이전
대통령실·국회의사당 '세종'으로
남은 경선 정책적 존재감 부각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차별화 전략을 꾀했다. 대통령실·해양수산부(해수부) 이전 문제를 두고 이재명 후보와 각을 세우면서다. 정책적 존재감 부각에 나서는 한편, 탄탄대로로 보이는 '이재명 대권가도'에 마지막 반전을 노리는 모습이다.
김동연 후보가 말하는 핵심은 해수부 '인천 이전'과 대통령실·국회의사당 '세종 이전'이다. 김 후보는 지난 22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자신의 캠프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수도권 공통 공약과 제주·강원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지금 딱히 인천의 발전 방향은 제시된 것들이 많지 않다"며 "해수부 이전을 포함해 (내가) 대한민국의 관문인 인천을 보다 발전시키겠다"고 했다. △해수부 △해양경찰청 △국립해양대 △해양수산산학진흥원 △해사전문법원 등을 한 곳에 모아 해양 특화도시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한국판 센트럴파크' 조성 계획도 밝혔다. 국회를 세종으로 이전한 뒤, 국회 본관을 박물관으로 만들고 남은 부지에 공원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임기 중 가장 이른 시일 안에 국회의사당을 (세종으로) 옮기겠다"며 "센트럴파크 조성은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를 포함해 임기 내에 모두 준비할 수 있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에 대해서도 "대폭 축소할 것이기 때문에 취임 즉시 옮길 것"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김 후보는 철원에 평화산업단지를 만들어 남북경협 관문으로 삼고 관광청을 신설해 제주에 유치하겠다고 약속했다. 경기도지사직을 수행하며 추진했던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비정규직 안식년제 도입 등도 공약했다.
이재명 후보의 대통령실·해양수산부 이전 구상은 김동연 후보와 결이 다르다. 우선 대통령실 이전 문제는 '용산 먼저, 종착지가 세종'이다.
이 후보는 지난 18일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현재 용산 대통령실의) 보안 문제가 심각해서 뭔가 대책이 있어야 하는 건 분명하다"면서도 "당장 또 어디 가기도 마땅치가 않아서 그렇다고 국민 혈세 들여서 미리 준비할 수도 없고, 집에서 할 수도 없다"고 했다.
이어 "(집권할 경우) 용산 (대통령실을) 쓰면서 다음 단계로 청와대를 신속하게 보수해서 그곳으로 들어가는 게 좋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개헌 등 논쟁거리가 있지만, 세종으로 완전히 옮기면 그곳이 마지막 종착지가 되지 않을까 한다"고 밝혔다.
해수부 이전 문제에 대해서도 입장이 다르다. 이 후보는 지난 18일 페이스북에 "대한민국의 해양강국 도약과 현장 중심 정책집행을 위해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겠다"며 "이를 통해 조선, 물류, 북극항로 개척 등 첨단 해양산업 정책의 집행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해운, 물류 관련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하고 해사전문법원도 신설해 해양강국의 기반을 탄탄히 다지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 후보는 남은 경선 일정에도 정책적 차별화를 통해 존재감 부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김 후보는 지난 22일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사법적 문제나 경선 변수 작용 여부는 관심이 없다"며 "오로지 비전과 정책을 가지고 경선 끝까지 정정당당 경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