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장사 유상증자 급증…주가 반등 ‘걸림돌’

노성인 기자 (nosaint@dailian.co.kr)

입력 2024.11.19 16:28  수정 2024.11.19 18:05

올해 유증 규모 5조…작년 수준 ‘훌쩍’

운영자금·채무상환 목적 절반 이상 등

"주주환원 흐름 역행…투자자 이탈↑"

ⓒ게티이미지뱅크

올해 코스닥 상장사들이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에 나서는 사례가 급증하면서 해당 상장들을 중심으로 시장 전반의 투자심리가 악화되고 있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유상증자 목적이 경영 상 문제를 해결하는 운영자금·채무상환 등인 것으로 나타나 최근 확산 중인 주주환원 흐름에도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작년과 올해 높은 시장금리에 자본 조달이 어려워지자 기업들이 ‘최후의 수단’으로 유상증자를 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조달한 자금이 상당부분 빚을 갚는 데 쓰이는 등 주식 가치 희석이 부각되면서 주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유상증자는 회사가 발행한 신주를 기존 주주나 제3자가 돈을 내고 사는 것으로 이때 들어온 자금은 이자를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자산이므로 기업의 입장에서는 재무구조 개선 효과가 있다.


같은 유상증자라도 시설 확충이나 인수합병(M&A) 등 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자금 조달이라면 중장기적으로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운영자금이나 채무 상환의 목적이라면 주가에 악재가 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날까지 공시된 코스닥 상장 기업의 유상증자 금액은 5조37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전체 규모(4조3496억원)를 훌쩍 넘은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연이은 유상증자 소식이 코스닥 상장사들의 주가를 끌어내리고 있다고 보고 있다. 작년부터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기업들이 대출 대신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조달에 나선 가운데 해당 자금을 신규 투자보다는 채무상환이나 운영자금 마련에 사용하고 있어서다.


올해 공시된 유상증자의 목적을 살펴보면 운영자금이 3조130억원으로 전체의 59.8%를 차지했다. 채무상환자금(5711억원)은 11.3%였다. 둘을 합치면 전체 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1.1%에 달했다. 반면 시설자금(13.5%), 타법인 유가증권 취득자금(9.1%) 등 신규 투자와 관련 있는 것은 비중이 작았다.


실제 최근 유상증자를 결정한 기업들의 주가는 연이어 약세를 보이고 있다. 전날인 18일 장 마감 후 1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한 옵티코어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3.38%(49원) 내린 1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아울러 지난 15일 장 마감 이후 948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공시한 현대바이오 역시 다음 거래일인 18일에는 전거래일 대비 10.7%(1700원) 하락한 1만412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같은 날 코스닥지수가 0.60%(4.13포인트·685.42→689.55) 반등한 것을 고려하면 대형 유상증자 소식이 투자심리 위축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채무상환 등을 위한 유상증자를 진행 할 경우 경영상의 문제로 악화된 재무구조 문제를 일반 주주들에게 전가한다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며 신주 상장 이후에도 수급 부담 등이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실적 부진에 더해 고금리로 대출 및 회사채 발행도 여의찮아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유상증자를 택하는 코스닥 기업들이 늘어났다”며 “이는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기업가치 제고 흐름과도 맞지 않아 향후 코스닥 내 투자자 이탈이 본격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짚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노성인 기자 (nosaint@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