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원전수 방류 초읽기…초유 사태에 세계가 불안 [오염수가 온다①]


입력 2023.04.26 06:30 수정 2023.04.26 06:52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이르면 7월께 실제 방류 시작

유례없는 일에 전문가도 의견 분분

불안한 심리에 수산물 타격 불가피

지난 2월 촬영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내에 오염수를 저장해 놓은 저장 탱크들 모습. ⓒ연합뉴스 지난 2월 촬영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내에 오염수를 저장해 놓은 저장 탱크들 모습. ⓒ연합뉴스

일본이 이르면 7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온 핵연료 냉각수(오염수) 해양 방류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인류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 주변국은 물론 바다 건너 국가들도 우려 속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도쿄전력이 진행 중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설비 공사가 막바지에 돌입했다. 오염수 방류 때 사용할 길이 1030m 터널 굴착 작업을 1017m 지점까지 완료했다. 현재 오염수 방류 전 물을 담아두는 수조를 뚫어 연결하는 최종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오염수 방류 시설 공사가 끝나면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는 한 달 동안 시설에 문제가 없는지 검사한다. 이어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최종보고서를 발표하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최종 결정으로 방류가 이뤄진다. 공사는 6월께 마무리할 예정이라 방류 시기는 대략 7월로 예상한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는 2년 전인 2021년 4월 처음 공식화됐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2020년 이전부터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을 논의했다. 방류 결정은 2021년 당시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각료회의에서 했다. 방류 예정인 원전 오염수는 약 135만t 정도다.


일본 정부가 방류를 결정한 원전 오염수는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나온 것이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때 폭발로 원전이 붕괴하자 도쿄전력이 원전 내 핵연료를 식히기 위해 사용해 온 물이 바로 ‘오염수’다.


오염수에는 삼중수소(트리튬), 세슘 134·세슘 137, 스트론튬 90등 방사성 핵종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도쿄전력은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정화한 후 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별도 보관해 왔다.


일본은 135만t에 달하는 오염수를 30~40년에 걸쳐 바다에 방류하겠다는 계획이다. ALPS로 오염수를 정화해 방사성 물질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떨어뜨린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방사능 핵심 물질이라 할 수 있는 삼중수소는 ALPS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삼중수소가 액체 상태로 체내에 유입되면 유전자 변형 등 피폭과 같은 인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전례가 없다 보니 오염수 방류를 놓고 반응은 엇갈린다.


우선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낮추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주장한다. 일본은 삼중수소 농도를 자국 기준의 40분의 1,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식수 기준치 7분의 1까지 떨어뜨린다는 계획이다.


태평양 해류 이동을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에 유입되는 방사성 물질은 극소량이라는 국내 연구진 연구 결과도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연구 결과 일본이 10년에 걸쳐 오염수를 방류할 경우 우리나라 해역 삼중수소 농도는 10만분의 1 정도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방사성오염수방류저지공동행동과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난달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일본 정부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장기보관 요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피켓을 들고 서 있다. ⓒ뉴시스 일본방사성오염수방류저지공동행동과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난달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일본 정부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장기보관 요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피켓을 들고 서 있다. ⓒ뉴시스

다만 지금까지 삼중수소가 생태계나 수산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연구한 경우는 없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달 초 일본의 방류 후 환경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신뢰할 수 있다는 내용의 4차 중간보고서를 발표했으나 여기도 이런 내용은 없다.


국내 전문가들은 이 대목을 지적한다. 전문가들은 삼중수소에만 집중하다 보니 세슘이나 탄소14와 같은 방사성 물질의 생물학적 농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정윤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는 “(오염수를) 리터(ℓ)당 1500㏃(베크렐) 수준으로 희석해 내보는 것은 환경영향평가 측면에서 합당하지 않다”며 “(사고 이전부터) 전체 운전 및 사고 정지 기간, 그리고 향후 배출할 총량으로 장기적인 환경영향 평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병섭 한국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박사 또한 “단편적으로 지금 나오는 양만 가지고 지금 문제가 있다, 없다 하지 말고 이런 장기적인 영향을 보는 환경영향평가를 같이 놓고 평가를 하면은 좀 더 신중하게 어떤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장 큰 문제는 사람들의 ‘심리’다. 오염수 안전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보니 수산물 소비를 꺼릴 수밖에 없다. 특히 멍게나 방어 등은 수입물 대부분이 일본에서 오는 터라 거부감이 크다.


해양수산부가 일본산 수산물 검사 대상을 전 품종으로 확대하고 검사 건수도 8000건(지난해 5441건)으로 늘렸지만, 소비자 불안감은 여전하다. 국회입법조사처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산물 소비를 줄였다는 소비자가 81%에 달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어민과 수산업계는 우리 정부가 오염수 방류에 대해 ‘반대’ 의사를 분명히 표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사)제주와미래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제주도민 10명 중 7명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를 막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정부는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금지 외에는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대통령실에서 지난달 30일 “후쿠시마산 수산물이 국내에 들어올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며 “일본산 수산물 수입과 관련해 국민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정부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해수부도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원칙에 따라 해역부터 수산물까지 철저하게 안전관리 대응을 진행 중”이라며 “오염수 방출 이후 막연한 불안감이 조성되지 않도록 수산물 안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했다.


▲[오염수가 온다②] ‘발 등에 불’ 떨어진 지자체, 정부는 ‘느긋’에서 계속됩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