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1860조 가계빚 ‘이자의 역습’...고금리에 허리 휜다


입력 2022.05.24 15:15 수정 2022.05.24 15:16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1Q 가계신용 1859조...9년만에 감소

가파른 증가세・시장금리 상승 우려

대출부실 ‘경고등’...연착륙 유도해야

서울 한 시중은행의 대출 안내 상품 문구 ⓒ 뉴시스 서울 한 시중은행의 대출 안내 상품 문구 ⓒ 뉴시스

올해 1분기 누적 가계빚이 1860조에 달하면서 본격 금리상승기를 맞아 한국경제의 ‘시한폭탄’으로 자리잡았다. 가계부채 규모는 시장금리 상승과 금융당국의 고강도 대출규제로 9년 만에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역대 최대급으로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우려된다. 연내 한국은행이 2~3차례의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 대출 금리는 앞으로 오를 일만 남았다.



ⓒ 뉴시스 ⓒ 뉴시스
◆ 증가세 꺾여도 1859조 상회...GDP 비중 100%대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분기 말 가계신용(잠정)은 1859조4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6000억원 줄었다. 가계신용이 줄어든 것은 2013년 1분기(-9000억원) 이후 처음이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8월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데 따른 시장 금리 상승,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관리에 나서면서 가계부채 증가세가 꺾인 것으로 풀이된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가계신용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 잔액이 1752조7000억원으로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그 규모가 감소했다. 가계대출은 신용 대출 등이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같은 기간 1조5000억원이 줄었다. 반면 카드결제 등을 포함한 판매신용은 1067조7000억원으로 거리두기 해제로 전분기 말보다 8000억원 늘었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며 가계부채가 9년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지만, 전체 규모는 1860조에 육박하며 여전히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은 94조8000억원으로 전분기(134조1000억원)보다 줄었지만,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0%를 넘길 것으로 추산된다.


국제결제은행(BIS)의 통계자료를 토대로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7년 89.4%에서 2021년 3분기 106.7%까지 치솟았다가, 지난해 4분기 102.5%로 소폭 하락했다. 2017년 대비 2021년 3분기 가계부채 비율 상승폭은 17.3%p로 G20의 평균치(3%p)보다 5.8배가 더 컸다. 통상적으로 가계부채는 경제 성장에 맞춰 늘어나지만, 그 증가 속도가 다른 국가보다 너무 빠르다는 분석이다.


향후에도 가계부채 감소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12월 이후 감소하다 시중은행들의 대출 문턱 완화 조치에 지난달 1조2000억원 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부채 감소세 전망에 대해 “4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은 금융기관의 대출 완화 노력 등의 영향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향후 대출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주택매매도 활발하지 않을 것 같아 향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 공동사진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 공동사진취재단
◆ 고물가에 금리 더 올린다...취약계층 어쩌나

최근의 높은 물가 오름세는 가계부채 리스크를 키울 수 있어 경계감이 고조되고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가계실질 소득이 감소한 가운데 고물가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8월과 11월, 이어 올해 1월과 4월까지 4차례 걸쳐 0.25%p씩 기준금리를 올렸다. 그럼에도 4%대를 웃도는 인플레 압력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빅스텝(기준금리를 한번에 0.5%p 인상)’에 대응해 연내 2~3차례 더 기준금리를 올릴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시장은 이를 통해 기준금리가 현 1.5%에서 연말 2.25% 이상까지 상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2.5%까지 전망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0.25%p 오르면 1인당 16만1000원의 이자를 더 내야 한다. 이를 감안해 지난해 8월 0.5%였던 기준금리가 연말까지 연 2.25%로 높아진다고 하면, 해당 기간 동안 대출자 1인당 추가 연간 이자는 112만7000원으로 추산된다. 이같은 이자 부담을 ‘빚투족(빚내서 투자)’ ‘영끌족(영혼까지 끌어서 투자)’들이 견딜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가계 대출 부실이 다른 부문으로 확산되면 우리경제에 전방위적인 충격이 올 수도 있는 상황이다. 특히 노약층, 청년층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의 대출부실 직격탄이 우려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1일 취임을 앞두고 “인기가 없더라도 금리 인상 시그널을 통해 가계부채 관리를 유도해야”한다는 의지를 표출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1860조의 가계부채 이자 부메랑에 대비해 대출 전략을 다시 점검하고, 가계 주체들의 이자 부담 연착륙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