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부동산 폭등에 자산가치 늘었지만, 깊어진 양극화의 골


입력 2021.07.25 06:32 수정 2021.07.23 18:35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부동산 자산 비중 75%로 역대 최대

문 정부 출범 이후 부동산 가격 급등

수도권-비수도권 자산 격차 증가세

부동산 소유 여부에 따른 국민 간 자산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데일리안 부동산 소유 여부에 따른 국민 간 자산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데일리안

부동산 폭등의 여파로 나라 전체의 자산 규모가 늘었지만, 실제 국민이 체감하는 현실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동산 소유 여부에 따른 국민 간 자산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방의 집값은 더디게 오른 반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이 급격히 오르면서 가격 차이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25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2020년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민 순자산은 1경7722조2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6.6%(1093조9000억원) 늘었다. 국민대차대조표는 우리나라 가계와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들의 자산 및 부채, 순자산 등의 기록으로, 국부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로 쓰인다.


이 기간 가장 크게 늘어난 자산은 토지(917조원)와 건설자산(177조7000억원) 등 부동산 자산이다. 이 부동산 자산 상승분(1094조7000억원)은 아예 전체 자산 증가분(1093조9000억원)을 앞질렀다.


전체 토지와 건물이 차지하는 비중도 75%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면서 부동산 쏠림 현상이 극심했다.


문제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가계자산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됐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공개한 '분위별 자산·소득 분포 보고서'에 의하면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자 간 자산격차는 2015년 이후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수도권 아파트 가격 상승 때문으로 풀이됐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자 간 자산격차는 2011~2015년까지 축소됐다가 2016년 이후 다시 확대됐다. 수도권의 주택가격지수는 2011년 96.5에서 2019년 104.0으로 7.5포인트 상승한 반면 비수도권의 주택가격지수는 2011년 91.9에서 2019년 98.0으로 6.1포인트 상승했다.


실제로 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6월 서울과 5대 지방광역시(인천 제외)의 평균 아파트매매가격은 각각 6억1755만원과 2억6266만원으로 나타났으나, 서울은 매년 1억원 가량씩 올라 올해 6월 11억4283만원으로 뛰었다.


반면 지방 5대 광역시 아파트값은 같은 기간 2억6266만원에서 3억6376만원으로 4년간 1억원 오르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집값이 오르면 오를수록 부동산 보유 여부에 따른 빈부 격차 또한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집값 고점 우려에도 서울 집값은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며 "집값이 오를수록 매수세는 강남권 등 주요 지역으로 쏠림 현상이 이어져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