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대책 여파…7월 아파트 거래량, 전월比 25%
집주인 ‘버티기’ 돌입에 수요 관망세·매물 잠김 현상
공급부족에 학습효과, 강남권 고가주택 증여 '속출'
6·27 대출 규제 여파가 지속되면서 서울 강남 등 핵심지 거래 절벽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매매를 고려하던 수요자들은 집값 추가 하락을 기대하며 관망세로 돌아선 반면, 집주인들은 매물을 거둬들이고 매도 대신 증여를 택하는 모습이다.
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7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973건을 기록했다. 6월(1만1933건) 대비 3분의1 수준에 그친다.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인 점을 고려하면 거래량은 더 늘어날 여지가 있으나, 대출 규제 영향으로 6월 거래량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에 머물 것으로 관측된다.
시장에 풀린 매물도 감소세다. 집주인들이 주택을 처분하지 않고 버티기에 돌입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아실에 따르면 같은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물은 7만4549건으로 한 달 전 대비 1.4% 빠졌다.
특히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를 중심으로 매물 회수 움직임이 두드러졌는데 강남은 해당 기간 6659건에서 5918건으로 11.2% 줄었고, 서초는 5141건에서 4821건으로 6.3% 감소했다. 송파는 3948건에서 3769건으로 4.6%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공급 절벽이 점차 가시화하는 만큼 시장 관망세가 끝나면 집값이 더 큰 상승폭을 나타낼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한 모습이다. 매도 대신 증여에 나서는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소유권 이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강남3구 집합건물 증여 건수는 824건으로 1년 전 대비 22% 증가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이 336건으로 가장 많았고, 송파(253건), 서초(235건), 양천(214건), 영등포(177건) 등이 뒤를 이었다.
6·27 대출규제 이후에도 증여 건수는 늘어나는 모습이다. 지난달(1~25일 기준) 강남3구 증여 건수는 119건으로 상반기 월평균 증여 건수(약 112건)을 넘어섰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36.8% 확대됐다.
양지영 신한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강남3구, 용산 등 핵심지역 자산가들이 ‘오르면 오를수록 팔지 않고 물려준다’는 학습효과를 바탕으로 증여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며 “핵심지역은 결국 오른다는 시장의 경험이 매도 대신 보유, 증여를 선택하는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부동산 정책 기조가 달라지는 점도 증여로 돌아서는 데 영향을 미쳤단 분석이다. 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등 핀셋 규제와 세제 정책이 수시로 달라지면서 부동산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가 떨어진 탓이다.
정책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증여를 통해 자산을 보유하는 것이 시장 변동성에 안정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으로 자리 잡은 셈이다. 여기에 강남권 고가 아파트의 경우 정부 규제에도 불구하고 집값은 꾸준히 우상향했단 점도 한몫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12% 오르며 26주 연속 상승했다. 대출 규제 발표 이후 5주째 상승폭은 축소되고 있지만, 강남3구 모두 오름세를 유지한 가운데 송파구(0.41%)와 서초구(0.21%)는 서울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강남구는 0.11% 올랐다.
양지영 위원은 “증여를 통해 다주택자 종부세 중과세율을 피할 수 있고, 현재 일시 유예된 양도세 중과가 재개될 가능성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증여를 선택한 것”이라며 “주요 지역이 토허제로 묶여 거래가 쉽지 않고, 내수 침체, 경기 성장 둔화 등 기준금리 인하 압력과 공급부족 우려, 향후 집값 상승 기대감 등이 겹치며 증여를 선택하는 흐름은 더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