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다음은 누구' 공포 휩싸인 LCC...내달 말 고비


입력 2020.07.23 14:51 수정 2020.07.23 15:50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제주항공 포기로 이스타항공 파산 수순 밟을 듯

하반기 적자 지속에 정부 지원 끊길판...공멸 위기감

"긴급 지원하되 시한두고 생존 모색하도록 해야"

인천국제공항 인근에서 항공기가 비행을 하고 있는 모습.(자료사진)ⓒ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인천국제공항 인근에서 항공기가 비행을 하고 있는 모습.(자료사진)ⓒ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간 인수합병(M&A) 무산으로 이스타항공이 파산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저비용항공사(LCC)들의 연쇄 파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고사위기에 몰린 LCC들은 정상적인 노선 운항을 못하고 있는 데다가, 여름 휴가철 성수기에도 항공 수요 회복은 요원해 3분기에도 실적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엎친데 덥친 격으로 고용유지지원금 등 정부 지원도 다음달 종료를 앞두고 있다.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 지급 기한이 끝나는 다음 달이 LCC에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사태로 항공업계 전체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여객 외에도 화물이라는 대체재가 있는 대형항공사들과 달리 LCC들은 절대적으로 여객 수요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미주와 유럽 등 다양한 국제선 노선을 갖춰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분산되는 대형 항고사와 달리 LCC들은 중국과 일본, 동남아 등 근거리 노선에 집중돼 있어 리스크에 더욱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이미 LCC들은 올 상반기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상태다. 상반기 실적만 놓고 봐도 2분기에 1분기보다 적자 폭이 더욱 커지며 실적 악화 폭이 커지는 양상이다.


국내 최대 LCC인 제주항공은 올 상반기 누적 영업적자 규모가 1000억원을 훌쩍 넘어 1500억원에 육박하고 진에어도 900억~1000억원의 적자를 시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 에어부산·에어서울·티웨이항공·플라이강원 등도 수백억원의 영업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문제는 하반기에도 이같은 흐름을 뒤집을 반전카드가 없다는 데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여객 수요가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정부의 추가 지원 없이는 반등의 계기는 커녕 생존의 위협에 시달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상대적으로 수요 회복이 기대되는 국내선 여객 수요 확보에 판매 영업의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마저도 수익성 개선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성에 이미 공급이 포화 상태에 다다른 상황에서 항공사간 치열한 출혈 경쟁 마저 펼쳐지면서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는 어려운 상황이다.


제주항공-이스타항공 여객기.ⓒ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제주항공-이스타항공 여객기.ⓒ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업계에서는 정부의 추가 지원없이는 LCC 전체가 공멸의 길로 들어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당장 내달 말로 시한이 만료되는 고용유지 지원금 연장 여부가 고비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항공업을 한시적으로 특별고용업종으로 지정하고 6개월 간 휴직급여(평균임금의 70%)의 90%까지 보전하는 고용유지지원금을 지원하고 있다. 고용보험법 시행령상 지급기한은 최대 180일로 내달 말이면 만료되는 상황이다.


유휴인력에 대한 인건비 부담이 큰 상황에서 고용유지지원금 연장 여부에 따라 회사의 재무 상태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LCC들은 지난 3월부터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으로 약 70% 안팎의 직원들을 휴업시키고 있다.


노사정 합의에 따라 지원금 시한 연장 가능성이 열려있으나 그대로 종료되면 각 사가 높은 인건비 부담을 해소하지 못하면서 불가피하게 인위적인 구조조정에 나설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LCC 7개사 직원 수는 약 1만1000여명에 달하는데 구조조정으로 대규모 실업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업계에서는 벌써부터 실업대란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LCC 사장단들이 지난 22일 국회를 찾아 고용유지지원금 연장을 호소한 것도 이같은 위기 인식과 맞물려 있다. 국가 기간 산업인 항공산업을 이대로 두면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정부가 긴급자금을 마련해 일단 업체들을 살려 놓고 업체들간 M&A를 자연스럽게 유도해 산업 재편이 이뤄지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허희영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이스타항공의 전례를 밟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업체들에게 긴급 자급 지원을 통해 산소호흡기를 장착해 주되 시한을 정해 자발적으로 생존 방안을 모색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M&A도 어느 정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지만 대규모 실직 사태는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