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코로나19] 신흥국, 외국인 자본이탈 등 불안 고조 ”첫 역성장 가능성도”


입력 2020.04.19 06:00 수정 2020.04.20 08:00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국제금융센터 “코로나발 대외충격, 신흥국 취약요인 노출 촉매제 될 수도”

‘관광·제조’ 의존 높은 국가 건전성 ‘빨간불’…CE “올해 경제성장률 –1.5%”

신흥국 외국인 포트폴리오 및 주가지수 등 추이 ⓒ국제금융센터 신흥국 외국인 포트폴리오 및 주가지수 등 추이 ⓒ국제금융센터

코로나19가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신흥국 경제가 받는 충격이 70년 만에 가장 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각국의 봉쇄조치로 ‘교역 둔화→대내외 수요 위축→생산·투자 감소→고용 축소’라는 연쇄효과로 가계와 기업, 금융시장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19일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발표한 ‘코로나19에 따른 신흥경제 리스크 점검’ 보고서를 통해 “선진국 수요위축과 유가급락 등 대외충격이 신흥국의 재정건전성 악화 등 각국의 다양한 내부 취약요인을 노출시키는 촉매제로 작용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본격화된 지난 1월 20일 이후 신흥국 내 외국인 자금유출 규모가 98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같은 기간 신흥국 주가지수와 통화가치 또한 각각 22%, 12,7%씩 하락했다.


문제는 상황이 장기화될수록 더 큰 경제적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우선 코로나로 인한 재정건전성 악화 우려가 나온다. 작년 말 기준 신흥국 정부부채 규모는 16조7000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10년 만에 2.3배 급증한 것이다. 최근 85개국이 IMF에 비상 자금지원을 요청했는데 이 역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2배 높다.


또 대외부문에서도 취약점이 드러날 수 있다. 바이러스 확산 억제를 위한 각국의 봉쇄 조치로 인적·물적 이동이 제한돼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가의 대외불균형이 심화될 가능성이 적지 않은 상황. 이같은 상품과 서비스 수출 감소 등으로 경상수지 악화가 불가피한 가운데 외화부채 만기가 올해부터 최근 3년간에 집중돼 있다는 점은 상환에 있어서도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여기에 관광과 물류 등 코로나 여파로 직접 타격을 받는 업종 뿐 아니라 제조업이 크게 악화되는 등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한 연쇄 디폴트 가능성도 대두된다. 아울러 세계 최대 원자재 소비국인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1~2%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등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원자재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어려움 역시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밖에도 코로나19 바이러스 전염이 중국과 유럽, 미국 등 주요국을 넘어 신흥국으로 이동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당장 아프리카의 경우 인구가 전세계의 16%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보건의료체계가 열악해 코로나19 검진 및 치료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결국 이같은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열악한 의료시스템과 높은 인구밀도 등으로 최악의 경우 통제불능 상황까지 놓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보고서는 24개 신흥국 가운데서도 중남미와 아프리카 지역이 대체로 취약한 것으로 진단했다. 개별국으로는 파키스탄과 브라질, 남아공, 아르헨티나, 헝가리, 칠레, 나이지리아, 이집트의 대내외 건전성 지표 등 종합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캐피탈 이코노믹스(CE) 역시 올해 신흥국 경제성장률을 –1.5%로 내다봤다. 센터 측은 “아시아 신흥국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건전하나 관광과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대외부문과 민간부문에서의 취약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배근미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