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공매도 금지에도 외인 매도 폭탄…전문가 "단기자금시장 대책 시급"


입력 2020.03.19 05:00 수정 2020.03.18 17:10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외국인, 공매도 전무하지만 16~18일 사흘간 2조2700억 순매도

전문가 "미 연준의 CP 매입과 같은 과감한 정책 필요 한 목소리"

공매도가 금지된 지난 16~17일 개인투자자를 포함한 외국인투자자의 공매도 거래 규모는 전무했다. 하지만 이 기간동안 외국인 투자자들이 내다판 국내 주식 규모는 1조6875억원에 이른다. ⓒ한국투자증권 공매도가 금지된 지난 16~17일 개인투자자를 포함한 외국인투자자의 공매도 거래 규모는 전무했다. 하지만 이 기간동안 외국인 투자자들이 내다판 국내 주식 규모는 1조6875억원에 이른다. ⓒ한국투자증권

금융당국이 한시적 공매도 금지에 나섰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의 매도 공세가 지속되면서 주가 부양 효과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증시가 과도하게 하락하면서 금융당국이 공매도 과열종목 제한조치에 이어 시장조성자를 제외한 공매도 전면금지라는 초강수를 뒀지만 증시 부양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단순히 공매도 금지 조치만으로는 시장 하락을 막는 것이 역부족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기업어음(CP)과 같은 단기자금조달 시장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가 금지된 지난 16~18일 개인투자자를 포함한 외국인투자자의 공매도 거래 규모는 전무했다. 하지만 이 기간동안 외국인 투자자들이 내다판 국내 주식 규모는 2조2737억원에 이른다. 특히 공매도 예외기관인 시장조성자들의 공매도 마저 큰 폭으로 줄었다. 기관의 공매도 규모는 지난 17일 하루만에 큰 폭으로 줄어 4400억원에서 247억원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코스피 지수는 1600선이 붕괴된 이후 반등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공매도 금지 만으로는 증시 하락을 막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외국인의 귀환을 위해서는 미국 증시가 회복세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노동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의 순매도 규모는 2000년 이후 굵직한 조정기를 뛰어넘었는데 남은건 2007년 금융위기 전조 시점인데 당시 외국인의 코스피 30거래일 순매도는 12조3000억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1.4% 수준에 이른다"며 "외국인 수급은 지난 3년간 평균대비 크게 하회하고 있는데 외국인 귀환을 위해서는 우선 미국 주식시장 회복과 재정지출 의회 통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공매도 금지만으로 시장을 안정화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 시장안정화 조치로 2008년 10월 1일부터 공매도 전면금지를 실시했지만 이 기간(10월 1일~24일) 동안 코스피 지수는 35% 가까이 하락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공매도를 금지한다고 해도 40% 가까이 국내 주식을 보유한 외국인이 팔아치우면 시장하락을 멈출수가 없다"며 "이미 보유한 자산처분을 위해 현금이 필요한 외국인이 매도에 나서고 있는데 이러한 매도 공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적인 증시 하락을 막기 위해선 CP와 전단채(전자단기사채) 등의 단기자금시장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CP시장이 안정화되지 않으면 기업은 단기자금 융통에 어려움을 겪고 충격은 고스란히 다른 기업으로 전이될 것"이라며 "CP시장 안정화, 투자심리 회복, 외국인 순매수 재개 등 삼박자가 갖춰질때 한국시장도 반등을 시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예컨대 CP 시장은 90일물 단기 시장인만큼 리스크에 특히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위기 상황이 닥치면 리스크에 대한 우려로 회사채를 통한 자금조달경로가 막히면서 CP로 수요가 몰릴 수 있는 만큼 리스크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 17일(현지시간) CP시장에 유동성을 투입하기로 전격적으로 발표하면서 시장 불안을 적극 잠재울만한 대책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도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CP와 전단채와 같은 단기자금 시장에 대한 대책이 없다는 것은 상당히 우려되는 부분"이라며 "최악의 경우에 단기자금 시장에서 기업들의 도산이 일어날 수 있는 만큼 CP 안정펀드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