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미분양 우려 큰 지방 정비사업 잇단 유찰…분양가상한제 후폭풍 시작됐나


입력 2019.08.28 06:00 수정 2019.08.27 22:04        권이상 기자

가뭄물량으로 관심 컸던 지방 사업지도 건설사들 입찰 머뭇거려

서울 대규모 사업지에는 여전히 대형사들 과열 경쟁 예고돼

가뭄물량으로 관심 컸던 지방 사업지도 건설사들 입찰 머뭇거려
서울 대규모 사업지에는 여전히 대형사들 과열 경쟁 예고돼


최근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시 미분양 가능성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사진은 광주시 아파트 전경.(자료사진) ⓒ연합뉴스 최근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시 미분양 가능성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사진은 광주시 아파트 전경.(자료사진) ⓒ연합뉴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의 직접적인 타격을 피해간 지방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단지들이 진행한 시공사 입찰이 최근 유찰행진을 하고 있다.

조합이 개최한 시공자 현장설명회가 건설사의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경쟁입찰 요건이 갖춰지지 않아 자동유찰되는 사업지도 늘고 있는 추세다.

업계에서는 분양가 상한제가 투기과열지구로 한정될 계획이지만, 일반분양 성공에 대한 확신이 없는 곳은 건설사의 관심이 적어지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28일 도시정비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시 미분양 가능성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일반분양의 미분양 우려가 적은 서울 등 수도권은 비교적 건설사의 관심이 큰 반면, 분양 성공 가능성이 높지 않은 지방 등의 사업지는 건설사들이 수주전 자체를 보류하고 있다.

이는 건설사 입장에서는 안그래도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면 일반분양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데, 지방 사업지를 수주했다가 이중으로 낭패를 볼 수 있는 것을 피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실제 업계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던 광주시 풍향구역 재개발 사업은 시공사들이 압칠참여 여부를 두고 고심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이곳은 지난 21일 개최된 현설 전 10억원을 내야해 입찰 전부터 건설사들의 부담이 컸다. 게다가 오는 10월 7일 마감 예정인 입찰 전까지 700억원을 전액 현금으로 내야한다.

이 사업은 광주 북구 풍동길 26-2(풍향동) 일대 15만2317㎡에 지하 3층~지상 35층 아파트 2995가구 및 부대복리시설 등을 신축할 계획이다.

사업지 규모가 크다보니 대형사들이 속속 입찰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 롯데건설, 포스코건설 등이 입찰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와 함께 경기도 안양 신한 아파트 재건축은 지난달 31일 열린 현설에 16개사 모이며 입찰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입찰에는 HDC현대산업개발이 홀로 응찰해 경쟁입찰 요건을 갖추지 못해 한차례 자동 유찰됐다.

이어 지난 14일 열린 현설에는 HDC현대산업개발, 일성건설, 시티건설 등 총 3곳이 다녀가 입찰성사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 전남 목포 구용해아파트 재건축은 지난달 31일 개최한 현설에는 참석한 건설사가 한 곳도 없었다.

조합은 곧바로 지난 1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다시 내고 이달 9일 현설을 다시 열었지만, 이날에도 참석한 건설사는 없었다.

한편 서울은 대규모 사업지를 중심으로 건설사들의 수주의지가 강해지고 있다. 실제 예상공사비 규모가 9182억원에 달하는 서울 은평 갈현1구역 재개발은 지난 현설에 현대건설, GS건설, 롯데건설 등이 수주경쟁을 예고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1조8880억원 규모의 한남뉴타운 3구역 재개발 사업은 지난 24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를 낸 후 대형사들의 격전지로 꼽히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곳을 수주하기 위해 현대건설, 대림산업, GS건설 등이 경쟁을 예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올해 물량가뭄이 극심해 지방의 사업지를 수주하려는 건설사들이 크게 늘었지만, 최근 정비사업 업계의 상황이 악화되면서 미분양 우려 등이 있는 곳은 수주전 자체를 보류하는 분위기가 확연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울과 달리 지방 정비사업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여파를 빗겨가며 사업에 걸림돌이 없지만, 전반적인 시장이 위축되면서 덩달아 피해를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이상 기자 (kwonsg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권이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