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했던 중동 형제국 사이의 담합은 일어나지 않았다.
18일 오후(이하 한국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글로라 붕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열린 2007 아시안컵축구 본선 조별리그 D조 최종전에서 홈팀 인도네시아를 1-0으로 꺾은 베어벡호는 사우디 아라비아가 바레인을 대파한 덕분에 8강행  티켓을  간신히 손에 쥐었다.
경기를 앞두고 한국은 1무1패 조 꼴찌로 처져 있던 상황. 사우디가 1승1무로 선두였고 인도네시아와 바레인이 1승1패씩으로 나란히 2, 3위에 올라 있었다.
이번 대회는 승점이 같을 때 골득실보다 승자승 원칙을 우선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사우디와 바레인이 최종전에서 비긴다면 한국은 바레인과  1승1무1패로  승점이 같아지지만 3위로 처지며 짐을 쌀 수밖에 없었다. 2차전에서 바레인에게 치욕의 1-2 역전패를 당했기 때문이다.
바레인은 걸프해에 위치한 작은 섬나라로 사우디 바로 옆에 붙어 있다. 특히 사우디와 바레인은 모두 이슬람교를 신봉하며 종교 뿐만 아니라 정치.사회적으로 똘똘 뭉쳐 있는 이른바 아랍권 ´형제´ 나라.
자력으로 8강 진출이 불가능했던 한국 대표팀 사이에 사우디와 바레인이  ´비기기 작전´을 펼치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목소리가 팽배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혹시나 했던 우려는 ´페어플레이´가 최우선인 축구에서는 기우일 뿐이었다.
물론 D조에서는 최종전에서 패할 경우 어느 팀도 8강 진출을 장담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우디가 바레인을 거칠게 몰아붙였던 측면도 있지만 4-0 완승을 거두며 2승1무 조 1위로 8강에 오르는 동시에 한국의 준준결승 진출까지 도왔다.
사우디는 사실 그동안 한국에 18년 동안 ´무승 징크스´를 안겨왔다. 이번  대회에서도 한국은 조별리그 1차전에서 사우디와 1-1로 비기며  지긋지긋한  징크스에서 탈출하지 못했다.
아시안컵에서 악연을 더욱 깊었다. 한국은 4차례 대결에서 사우디의 벽을 한 번도 넘어서지 못했다.
1984년 싱가포르 대회 1-1 무승부에 이어 1988년 카타르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만났는데 승부차기 3-4 패배를 안겼고 2000년 레바논 대회 준결승에서도 한국은 1-2로 패하며 무릎을 꿇었다.
이처럼 한국의 아시안컵 행보에 걸림돌이 돼 왔던 사우디. 하지만 이번에는 ´자카르타의 기적´을 도우며 한국에 큰 선물을 안긴 셈이 됐다.
더구나 조별리그 탈락 위기에서 경질론이 불거졌던 핌 베어벡 감독은 사우디 덕분에 사령탑 자리를 보전하는 쑥스러운 행운을 누렸다.[연합뉴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