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귀농·귀촌 인구 첫 50만명 돌파…귀농가구는 1.9% 감소


입력 2018.06.28 12:00 수정 2018.06.28 09:51        이소희 기자

귀촌가구는 해마다 증가세, 귀농가구 정부 지원에도 불구 소폭 줄어

정부, 귀농‧귀촌인 정책 지원 강화‧실태조사 주기도 5년→매년 변경

귀촌가구는 해마다 증가세, 귀농가구 정부 지원에도 불구 소폭 줄어
정부, 귀농‧귀촌인 정책 지원 강화‧실태조사 주기도 5년→매년 변경


정부가 지난해 기준 귀농‧귀촌인 및 가구원을 조사한 결과 총 51만6817명으로, 귀농‧귀촌인 통계작성을 시작한 2013년 이후 처음으로 5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정부가 추진해온 귀농·귀촌인 정책지원에 비하면 증가 폭이 그리 두드러지지 않지만 귀촌 가구가 3.6%가량 늘면서 전체적인 통계수치를 올렸다. 반면 귀농 인구는 전년보다도 소폭이지만 감소했다.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은 28일 합동브리핑을 통해 2017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의 조사 결과 작년 귀농가구는 1만2630가구로, 전년 1만2875가구 보다 245가구가 줄어 1.9%가 감소했다. 귀농 가구의 평균 가구원수는 1.55명으로 전년 1.6명 보다 0.05명이 줄어들었다.

이 같은 귀농가구의 감소에 대해 정부는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11.2%와 7.7%로 증가하면서 2017년은 상대적으로 증가 여력이 일시 줄어든 영향이 있고, 지난해 고용률 상승 등도 귀농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귀농인 중 농업에만 종사하는 전업 귀농인은 72%였고, 다른 직업을 함께 보유한 겸업 귀농인은 28%로, 평균 재배면적은 0.38㏊이고, 주요 작물은 채소가 43.6%, 과수가 31.2% 비중을 차지했다.

귀촌가구는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는 33만4129가구로 전년 32만2508가구 보다 1만1621가구가 증가했다. 귀촌인은 49만7187명으로 전년 보다 2만1698명(4.6%) 증가했고, 이 중 남자는 26만783명, 여자는 23만6404명이었다.

귀촌 전 거주지로는 경기지역이 24.2%로 가장 많았고 서울 14.2%, 경남 8.5% 등의 순으로, 수도권 지역이 전체의 42.3%를 차지했다.

ⓒ

특히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동한 귀농귀촌인과 동반가구원 중에서 40세 미만 젊은 층이 50.0%를 차지했으며, 여성 귀농가구주 비중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가구의 평균 가구원수는 1.55명인데 비해 40세 미만 귀농가구의 평균 가구원수는 3.6명이고, 가족이 동반 이주하는 특징이 있어 농촌인구 유입에 매우 중요한 연령대로 분석됐다.

여성 귀농가구주는 4153명으로 전년보다 0.2% 증가했고, 여성 귀농가구주 비율은 32.9%로 전년대비 0.7%P 상승했다.

귀촌가구원의 51.0%인 25만3465명이 40세 미만이고, 귀농가구원의 24.4%인 4788명이 40세 미만이었다.

연령별 귀촌가구원 비율은 40세미만이 51.0%, 40대 16.9%, 50대 16.4%, 60대 이상 15.8%였으며, 귀농가구원 비율은 40세미만 24.4%, 40대 15.0%, 50대 32.6%, 60대 이상 28.0%로 집계됐다.

지난해 귀어가구와 귀어인은 소폭 줄어들었다. 귀어가구는 906가구로 전년 보다 23가구(-2.5%) 감소했고, 귀어인은 991명으로 전년 보다 14명이 줄었으나 동반 가구원은 368명이 늘어 전년 보다 35명(10.5%)이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충남이 328가구로 가장 많고 전남이 285가구, 경남 92가구의 순이었으며, 귀어 가구주 69.6%가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50.1세로 나타나는 등 40~50대 연령층이 절반(58.3%)을 넘었다.

귀어가구의 68.8%가 1인 가구였으며, 가구 구성형태는 귀어가구만으로 구성된 단일가구는 74%, 어촌지역 거주자와 귀어가구원이 함께 가구를 구성한 혼합가구가 26%의 비중을 보였다.

귀업인 중 어업에만 종사하는 전업 귀어인은 71.7%(711명), 다른 직업을 함께 보유한 겸업 귀어인은 28.3%(280명)이었으며, 귀어인의 92.7%는 어로어업에 종사했고 내수면 어업에는 4.4%, 양식어업은 2.8%를 기록했다.

정부는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귀농‧귀촌인에 대한 지원 정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청년 귀농 지원을 위해 청년농 영농정착 지원과 청년귀농 장기교육도입, 귀농 창업자금 지원개선, 귀농교육 개편 등이 추진되고 있다.

이어 청년농 영농정착지원금 대상 추가선발, 청년귀농장기교육 운영, 귀농 창업자금 확대 및 귀농교육체계 개편 지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귀농어‧귀촌인 실태조사 주기를 5년에서 올해부터 매년(8~11월)으로 단축하고, 부정수급 방지, 귀농‧귀촌 박람회 개최 등 정책 기반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