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아파트 중도금 전쟁…건설사들, 납부 연기에 연체 허용까지


입력 2018.03.22 06:00 수정 2018.03.22 06:11        권이상 기자

효성해링턴 코트 중도금 5%로 낮춰, 성복 어반하임은 중도금 없애기도

이런 추세 중도금 대출 불가능한 서울 강남권에도 번지려는 모습

 최근 새 아파트를 분양 중이거나 분양하고 있는 건설사들이 중도금 부담을 낮추려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사진은 과천에서 분양 중인 한 아파트 견본주택 모습.(자료사진) ⓒ데일리안DB 최근 새 아파트를 분양 중이거나 분양하고 있는 건설사들이 중도금 부담을 낮추려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사진은 과천에서 분양 중인 한 아파트 견본주택 모습.(자료사진) ⓒ데일리안DB


정부가 주택 대출 옥죄기에 나서면서 건설사들이 분양률 하락을 막기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특히 9억원 이상 아파트의 중도금 대출이 막히면서 유례없는 파격적인 중도금 납입 방법을 검토하고 나섰다.

수도권과 지방 일부 아파트는 중도금 비중을 낮추는가하면, 중도금 납부 일정을 연기해주는 등 수요자들의 초기 자금 부담을 줄이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수요가 제한적인 지방뿐 아니라 고가의 아파트가 많은 서울·수도권 아파트에도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업계에서는 주택 수요자들을 위한 배려라는 해석과 함께 건설사들이 정부의 대출 규제를 교묘하게 피해하고 있는 것 등으로 해석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새 아파트를 분양 중이거나 분양하고 있는 건설사들이 중도금 부담을 낮추려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눈에 띄는 방법으로는 분양가 납부 비율인 계약금 10%, 중도금 60%, 잔금 30% 공식을 깨고 있다는 것이다.

분양가 납입 비율은 국토교통부가 마련한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 명시돼 있다. 이 법령 제 60조 2항에 따르면 분양주택의 중도금은 주택가격의 60%(계약금을 주택가격의 10% 범위 안에서 받은 경우 70%) 범위 안에서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도금 비중을 40%로 줄이고 잔금 비중을 50%로 늘리고 있는 추세다. 이렇게 되면 분양받은 입장에서는 대출한도 내에서 자금을 마련할 수 있고 중도금에 따른 이자도 줄일 수 있다. 반면 건설사 입장에서는 공사비 부담을 잔금때까지 가져가야 한다.

수요자는 비록 잔금 부담이 커지긴 하지만 보통 잔금 치를 즈음에 살던 집을 팔거나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아 자금을 해결하는 경우가 많아 자금마련이 용이해진다. 일부 금융권에서는 추후 아파트를 담보로 등록하는 것을 전제로 잔금대출도 해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최근에는 중도금을 아예 없애거나 비중을 최소화 해 수요자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방식도 등장했다.

효성이 경기도 평택 소사벌 택지지구에 분양 중인 ‘평택소사벌 효성해링턴 코트’는 계약금은 10%이지만, 중도금은 5%로 낮췄다.

이렇게 되면 아파트 계약자는 분양가의 15% 자금만 가지고 있어도 분양을 받을 수 있고, 잔금 때 나머지 85%만 준비하면 된다. 중도금이 5%로 낮아지면서 그만큼 중도금 대출에 따른 이자부담도 줄어들게 된다.

심지어 중도금을 없애고 잔금으로 받는 단지도 있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에 공급되는 ‘수지 성복 어반하임’은 계약금 10%만 내면 나머지 90%를 입주 때 잔금으로 치르면 된다.

가장 최근에는 중도금 납부 일정을 연기하는 게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반도건설이 분양 중인 ‘대구국가산단 반도유보라2.0’은 계약금은 분양가의 10%로 기존과 동일하지만, 중도금 납부를 1년간 유예하는 조건을 내걸었다. 또 계약자가 원할 경우 중도금 전액을 무이자로 대출 받을 수 있다.

이는 건설사가 수요자들의 계약문턱을 낮추기 위해 이자 등 자금 부담을 떠안으려는 것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과거 건설사들이 중도금 비율을 지나치게 높여 공사비 부담을 수요자에게 전가하려고 해 문제가 많아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서 중도금 비율 상향을 제한해 이를 막았다”며 “그러나 최근 일부 수도권과 지방에서는 오히려 건설사가 중도금 비율 낮춰 부담을 안고서라도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움직임은 서울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정부가 9억원 이상 아파트의 중도금 대출을 막으면서 중도금 납부 연기나 잔금 비율 상향 등을 검토하고 있는 단지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시세차익이 예상돼 ‘로또’로 불리는 아파트를 노리는 수요자들 사이에서는 중도금 납부를 고의적으로 연기해 이자를 내더라도 고가의 아파트를 분양 받으려는 움직임도 생겼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요즘 분양하는 서울 강남권의 고가 아파트는 중도금 대출도 받을 수 없어 최소 7억원 이상을 보유한 자납 능력을 갖춘 수요자들만 청약에 나설 것으로 예상됐지만, 요즘 추세는 일단 분양 받고 보자는 의견이 커진 것 같다”며 “현장에서는 중도금을 못 내더라도 일단 분양을 받고 전세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받거나 추후 고액 담보 대출 등으로 해결하려는 수요자들이 대부분이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건설사들의 중도금 비율을 조정하는 추세가 늘어나면 정부가 또 다른 규제로 맞설 가능성이 높다”며 “중도금 대출이 가능하더라도 DSR 도입이 되면 이자뿐 아니라 원금도 동시에 상환해야해 부담이 커져 자금 계획을 철저히 세워 청약에 나서야 한다”고 전했다.

권이상 기자 (kwonsg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권이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