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회장직 승계와 관련해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생각해 승계를 고사했다"고 밝혔다.
부친인 이건희 삼성 회장의 입원이 장기화 되자 그룹 안팎에서 경영권 승계에 대한 언급이 나왔지만 한 단계 성장해 사회적 환영을 받으면서 하고 싶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2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부장판시 김진동) 심리로 진행된 자신과 삼성 전직 임원들에 대한 제 50차 공판에서 특검의 피고인 신문에서 이같이 진술했다.
이 부회장은 이 날 재판에서 변호인이 회장직 승계를 고사한 이유에 대해 묻자 "회장님이 생존해 계시니 자식된 도리로서 아니라고 생각했고 아직 제가 좀 더 준비가 덜 되지 않았나 라는 생각도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언급했듯이 이왕이면 제가 한 단계 더 위치에 변화라 있으면서 사내에서든 사회에서든 환영을 받으면서 하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굳이 서두를 필요가 있나 싶었다"고 설명했다.
또 '계열사들이 다 좋은 실적을 내고 있고 최지성 전 부회장도 믿는 선배 경영자로 주요 계열사 사장들이 회장님 와병기에 큰 변화가 없었다"며 "제가 괜히 조직에 변화를 줘서 체제를 흔들기 싫었다"고 강조했다.
이에 변호인이 "삼성 안팎에서 공감대가 형성됐을때 (회장직에) 취임하는게 온당하다고 생각한다는 취지냐"라고 묻자 "서두르고 하는 것 보다는 그런 생각이 든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 이 날 재판에서 앞서 피고인 신문을 진행한 최지성 전 삼성 부회장(전 삼성 미래전략실장)은 이미 국내외에서 이 부회장이 후계자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이건희 회장 유고시 당연히 이 부회장이 회장 자리를 승계하는 것으로 생각돼 빨리 회장직을 물려받으라고 권유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회장이 쓰러지고 난 뒤 이 부회장이 회장직을 승계해야한다고 여러차례 채근했다"며 "연말 사장단 회의에서 회장직에 취임하라고 강권한 적도 있고 이 회장 와병 1년쯤 뒤 이제 충분하니 회장에 취임하라고 권유했지만 이 부회장이 끝내 고사했다"고 진술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