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건설업체인 강창록 아주산업건설 회장(왼쪽) 김준형 LG유플러스 홈IoT 담당 상무가 홈IoT 물품 공급 및 서비스 제공 계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홈 사물인터넷(IoT)서비스가 오피스텔 시장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시공사 및 시행사로부터 협력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홈IoT 서비스에 새로 구입한 가전 제품들을 추가 연동할 수 있고 실내에서는 음성으로, 실외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주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 투자자와 실구매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기 때문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안강개발과 IoT오피스텔 구축을 위한 사업협력을 체결 한데 이어 지난 25일 종합건설업체인 아주산업건설과도 홈IoT물품 공급 및 서비스 제공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아파트 뿐만 아니라 오피스텔에서 꼭 필요한 IoT기능만 선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IoT상품 공급을 통해 비용 효율적으로 댁내 관제 및 제어,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로써 LG유플러스는 안강개발과 아주산업건설 등이 경기도 하남시와 서울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 서대문구 신촌 등에 건설 예정인 오피스텔 약 2,500세대에 U+ 홈IoT 물품 공급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LG유플러스가 오피스텔에 공급하는 서비스는 △홈IoT허브(음성제어) △에너지미터(전기 사용량 실시간 확인, 누진단계 변경 알림) △플러그(원격 On/Off, 대기전력 및 전기누전 차단) △스위치(Light 원격 On/Off, 타이머 On/Off) △열림감지센서(창문/문 개폐 상태 확인) △가스락(가스밸브 원격 확인/잠금, 타이머 설정, 위험온도 알림 및 자동잠금) △온도조절기(원격 실내온도 모니터링 및 제어) 등이다.
IoT오피스텔은 홈 IoT서비스가 빌트인 되어 있어 말 한마디로 거실과 침실에 불을 키고, TV와 가습기가 저절로 켜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창문이나 출입문이 열리면 경보음이 울리고, 스마트폰으로 경보메시지가 전송되는 기능이 탑재돼 1인 가구가 늘어나는 요즘 필수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LG유플러스의 홈IoT서비스는 출시 10개월 만에 30만 가구를 돌파했으며, 올 상반기에만 약 30여종 이상(로봇청소기, 밥솥 등 가전 제품뿐 아니라 전동 커튼, 펫 액세서리 등 가정 내 다양한 소품 포함)의 제품/서비스를 연동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서비스 운영도 강화한다. 애프터 서비스(AS), 서비스 상담 등 사용자 경험 개선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김준형 LG유플러스 홈IoT담당 상무는 “차별화된 홈IoT서비스를 통해 스마트한 주거문화 개선에 앞장서겠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산업군의 업체와 제휴를 통해 국내 IoT 산업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