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020년 '현금 없는 사회' 공표..."관리비용 줄이겠다"
조폐공사, 지폐 발행 수익 대신 은행권 수출·보안기술 개발
지갑 대신 휴대폰을 찾는 시대가 찾아왔다. 현금 없이는 택시를 타거나 물건을 살 수도 없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대체수단을 통해 결제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우리 국민 6명 중 1명이 사용할 정도로 휴대폰과 신용카드가 결합된 ‘핀테크’가 사람들의 일상 속에 파고들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2020년 중장기 결제업무 추진전략 중 하나로 ‘현금 없는 사회’ 도입을 언급했다. ‘동전’이나 ‘지폐’를 현물거래가 아닌 계좌나 모바일 거래 등으로 대체하겠다는 것이다. 이미 스웨덴, 네덜란드 등 세계 여러 국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현금 발행비용이나 관리비용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언젠간 동전과 지폐가 사라질지 모르는 사회, 이른바 ‘현금 없는 사회’가 현실화된다면 기존에 돈을 만들어내던 조폐공사 역시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것일까.
은행권·보안기술 개발 수출 박차...해외 홈쇼핑 방영 등 '영역 확장'에 주력
인도네시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5만루피아(약 5000원) 지폐는 우리나라 충남 부여군에서 생산한 용지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래서 5만루피아 지폐를 살펴보면 마치 우리나라 1000원권처럼 일정 부분이 노출된 은색 선을 볼 수 있다. 조폐공사가 지난 2014년 2월 국제 입찰을 통해 1108톤 규모의 고액 은행권종을 수주하면서 이뤄진 결과다. 인도네시아 뿐 아니라 페루와 인도 등에도 국내 조폐기술이 적용된 화폐가 유통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 화폐 생산이 당장 중단되더라도 조폐공사의 외국화폐 발행이나 은행권 용지 생산은 멈추지 않고 계속된다.
위조화폐 방지기술을 접목한 보안기술 개발도 한창 진행 중이다. 복사하면 ‘COPY’ 표시가 뜨는 시험성적표나 졸업증명서 등 이제는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민원발급용 특수보안용지와 ID카드, 선거용 전자투표카드가 그 대상이다. 대표적인 ID카드인 전자여권의 경우 지난 2014년 310만 장에서 384만 장으로 1년 사이 발급량이 20% 가량 늘었다. 선거용 전자투표카드는 국내뿐만 아니라 키르기스스탄에 수출돼 실제 선거에 사용되는 등 그 영역을 점차 넓혀가고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