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사)한국부동산경영학회가 대한부동산학회와 공동으로 오는 29일 광운대학교 80주년 기념관에서 ‘부동산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출발 전략’ 이라는 주제로 ‘2025년 하반기 정기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광운대학교 대학원 부동산법무학과가 주관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부동산원, 인천도시공사(iH) 등의 공공기관과 업계가 공동으로 참여한다.
최근 부동산 시장은 6·27, 9·7, 10·15 대책이라는 연속된 규제정책으로 거래량이 급감하고 있다. 임대차 시장의 경우에도 집을 살 때에는 2년간 실거주 의무를 부여해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를 사실상 금지하면서 전세물량의 공급이 줄어드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선 단기적으로 부동산시장은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실수요자들의 진입이 제한되고,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부동산시장이 붕괴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임대차시장도 임대차 3법, 9년 갱신청구권 시도 등으로 공급이 부족하여 임대인 우위시장이 지속되고 있고, 전세가격의 상승 및 월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한국부동산경영학회와 대한부동산학회는 부동산 시장을 진단하고 여러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세미나에선 이춘원 광운대 교수가 사회를 진행하며 ▲비도시지역 대규모개발사업 공공기여 산정(이지은 대진대 교수) ▲한국 주택시장 구조와 정책 방향(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박사) ▲중소형 빌딩 자산관리와 임차인 만족도(최영선 광운대 박사과정)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조례 의무화와 주거만족도 개선(박상순 나사렛대 박사과정) 등 주제 발표가 예정돼 있다.
이어 박필 동서울대 교수, 서영천 서원대 교수, 김학환 숭실사이버대 교수, 이인영 박사(광운대), 박문수 상명대 교수, 한광호 신한대 교수, 김행조 나사렛대 교수, 정재훈 단국대 교수 등의 토론이 진행된다.
서진형 한국부동산경영학회장(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은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도 이제는 대전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고민과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출발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