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환경공단이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도입한 ‘스마트 안전 기술’ 모습. ⓒ 인천환경공단 제공
인천환경공단은 송도자원순환센터 자원회수시설의 현장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최신 ‘스마트 안전 기술’을 도입한다고 18일 밝혔다.
‘스마트 안전 기술’은 관리자의 현장 순찰이 어려운 시간대에도 자동으로 위험 상황을 감시하고 조기 대응할 수 있어,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
이번 사업은 자원회수시설에서 재활용가능자원 선별 시 소음이 심하게 발생 되는 부분과 중장비를 활용해 작업하는 특성을 반영, 현장의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공단은 먼저 중장비(로더·지게차)와 근로자에게 암밴드 센서를 제공하고, AI(인공지능) 영상분석을 통해 서로의 거리를 실시간 인식해 위험시 양방향 경보를 발생시켜 충돌 사고를 방지하는 지능형 접근 경고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와 함께 근로자의 위험 행동 및 안전 보호구 미 착용 등을 실시간 탐지하는 AI 영상분석 모니터링 시스템과 화재 발생 시 즉시 자동 진압이 가능한 불꽃 감지 자동소화 장치도 순차적으로 구축한다.
김성훈 인천환경공단 이사장은 “앞으로 첨단기술을 적극 활용, 자원회수시설 전반의 안전관리 혁신을 지속 추진하여 무재해·무사고 현장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공단 자원순환지원센터는 수영장, 잠수풀, 캠핑장, Par3 골프장 등으로 조성된 송도스포츠파크, 인천시 중구·연수구에서 발생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처리하는 하루 50톤 규모의 자원회수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