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월 지난해 대비 신용대출 2조 감소
금융위, “계절적 증가 구간 속에서도 흐름은 안정적”
일일 모니터링으로 리스크 관리 강화 강조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지난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위 출입기자단 월례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금융권의 신용대출 증가세와 ‘빚투’ 논란이 맞물려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금융당국이 “과거 평균에 비해 신용대출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17일 자료를 내고 “올해 1~10월 전 금융권 신용대출(누적)은 지난해 대비 2조원 순감했다”며 “과거 평균 증가 규모(약 9.1조원)에 비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다.
월별 증감 역시 계절적 요인에 따른 흐름이라는 설명이다. 지난달 신용대출은 9000억원 늘어나 증가세를 보였지만, 금융위는 “통상 10~11월은 휴가철·연말 비용 수요 등으로 신용대출 증가가 나타나는 시기”라고 부연했다.
금융위는 “현재 신용대출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며, 향후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신용대출이 가계부채 증가를 견인하거나 건전성에 위협을 주는 수준은 아니다”라며 “잘 살펴보겠다”고 말한 바 있다.
금융위는 이 위원장의 발언의 취지에 대해 “최근 신용대출 증가추이가 거시건전성 측면에서 중대한 위험요인으로 보기는 어려우나 향후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신용대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신용대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연소득 이내 신용대출 한도(6·27 대책) ▲DSR 규제(은행 40%·비은행 50%) ▲스트레스금리 1.5% 가산(1억 초과 차주) ▲1억 초과 신용대출 시 규제지역 내 주택구입 1년 제한 등 제도를 운용 중이다.
한편, 증권사 신용거래융자 증가와 관련해 금융위는 “투자자 스스로 감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리스크 관리가 필수”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올해 증시 회복으로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1월 2주 기준 26조 원 수준까지 증가했으나, 전체 시가총액 대비 비중은 0.67%로 최근 평균 범위에 머물고 있다.
금융위는 신용거래융자 또한 ▲증권사별 총량제한(자기자본 100% 이내) ▲보증금율 40% 이상(최대 LTV 60%) ▲담보유지비율 140% 이상 ▲종목·고객별 한도 차등 관리 등을 통해 리스크를 통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금융투자협회·한국거래소와 함께 투자자 경고성 메시지를 지속 발송하고 있다며, 금감원도 지난 10일 증권사 간담회에서 신용공여 한도 점검과 투자자 보호 강화를 요청했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증권사별 신용거래융자 동향 모니터링을 일별 체계로 전환해 집중 점검 중”이라며“향후에도 시장 리스크를 면밀히 점검해 금융시장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