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나주·부여·순창·신안 시범 수립 완료
지역 특성 반영한 중장기 전략계획 본격 추진
농식품부. ⓒ데일리안DB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3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 시행 이후 5개 시·군이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2025~2034)’을 확정했다고 2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당진시, 나주시, 부여군, 순창군, 신안군을 시범 지역으로 선정해 전문가 컨설팅을 지원하며 계획 수립을 추진해 왔다. 순창군이 지난 9월 전국 최초로 계획을 발표했으며, 부여군이 10월 23일 행정절차를 마무리하며 시범 지역 모두 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농촌공간 기본계획은 각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반영해 농촌의 정주여건 개선과 지역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했다.
당진시는 ‘농촌과 도시가 공존하는 농촌다운 러번지역 당진’을 비전으로 북부 송악읍·송산면을 재생에너지·미래산업 혁신거점으로, 고대면은 스마트 ICT축산단지와 연계한 농축산업 거점으로 육성해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한다.
나주시는 ‘농촌다움과 도시적 편의가 공존하는 도농복합도시 나주’를 비전으로, 혁신도시 집중 개발을 분산하기 위해 농촌특화지구를 지정하고 나주배·청양고추·멜론 등 지역 특화작물의 융복합화를 추진한다. 또한 축사·공장·창고 등을 이전·집적화해 정주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부여군은 ‘지속가능한 미래 농촌다움을 위한 굿뜨레 부여’를 비전으로, 규암면과 부여읍 중심 기능을 연계해 생활서비스 공급체계를 재편하고, 석성면을 버섯 재배 산업거점으로 육성한다.
순창군은 ‘생활·정주·경제가 융합되는 모두가 행복한 순창’을 비전으로, 생활서비스 소외 지역인 복흥·쌍치·구림면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장류와 치유관광 산업을 고도화한다.
신안군은 ‘사람과 자연, 경제가 순환하는 에코 스마트 신안’을 비전으로, 섬별 자연경관과 유산을 활용한 정원화사업을 확대하고, 빈집과 폐시설을 활용한 체류형 관광거점벨트를 조성한다.
현재 110여 개 시·군이 한국농어촌공사, 국립농업과학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등 중앙·광역 지원기관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농촌공간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농식품부는 내년까지 모든 시·군의 계획 수립을 완료할 방침이다.
박성우 농식품부 농촌정책국장은 “농촌공간 기본계획은 시·군이 주민과 함께 만드는 중장기 전략계획으로, 시범 지역의 다양한 사례가 다른 지역의 좋은 참고가 될 것”이라며 “이들 계획은 농식품부의 ‘모두의 행복농촌 프로젝트’ 추진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주민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컨설팅과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