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승률 앞선 2배 대형주…중소형주는 절반 수준
李 대통령, 코스닥 정상화 의지 표명…개선·활성화 촉구
새로운 정책·정보 대칭성으로 국장 체력·신뢰 강화해야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코스닥은 찬밥보다 못한 신세다. ”
“주가 양극화로 중소형주 투자자는 거지가 될 판이다. ”
국내 증시가 ‘사천피(코스피 4000)’ 시대를 맞이했지만 모든 투자자가 웃는 것은 아니다. 코스피가 연일 최고치 랠리를 이어간 하반기, 코스닥은 좀처럼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해 대형주와 중소형주의 희비가 극명히 엇갈렸다.
10월 국내 주식시장 성과를 살펴보면 시가총액 100조원 이상 종목들은 평균 약 40% 오르며 같은달 코스피 상승률(20%)를 20%포인트 웃돌았다. 특히 코스피 4000 돌파를 이끈 1등 공신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 비중은 전체의 4분의 1을 차지하게 됐다.
반면 시가총액 100조원 미만 종목들의 평균 상승률은 11%로 코스피를 크게 밑돌았다. 나아가 올해 상승률을 살펴보면 코스피는 71% 폭등한 반면 코스닥은 33% 오르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두 지수의 상승률 차이는 2000년 이후 약 20년 만에 최대로 확대됐다.
국내 증시의 온기가 대형주에만 전해지고 있는 셈이다. 증시 강세장에도 코스닥 중소형주는 소외되며, 대형주에 투자심리가 집중되자 코스닥 중소형주 투자자들은 울상을 지을 수밖에 없다.
이처럼 대형주에만 자금이 쏠리게 되면 주식시장 전반의 체력이 강화되지 못해 상승세가 지속되기 어렵다.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했고, 추가 상승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대형주와 중소형주의 괴리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보인다.
즉, 코스닥 시장 개선 및 활성화가 이뤄져야 하는 시점이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코스닥 시장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을 만들고자 한다”며 코스닥 시장 정상화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이 일환으로 정부의 벤처·스타트업 활성화가 본격화될 경우, 중소 벤처기업의 비중이 높은 코스닥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담긴 3차 상법 개정안이 11월 정기국회에서 처리되면 코스피·대형주와 관련된 정책 이슈 부각이 줄어드는 만큼, 이제는 중소형주에 주목한 정책이 등장해야 한다.
또한 코스닥 시장은 단타 매매 성향이 강한 개인 투자자가 비중이 높아 변동성이 크고 상승세를 이어가기 어려운 구조라 외국인·기관 투자자의 유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투자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올해 발간된 증권사 애널리스트 리포트를 살펴보면 약 80%가 코스피 종목 대상으로 대형주에 집중돼 있다. 코스닥 중소형주에 대한 양질의 정보가 현저히 부족한 것인데, ‘리서치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 종목의 정보 접근성과 형평성을 끌어올려야 한다.
특정 종목만 계속 오르는 것이 아닌, 대형주에 쏠린 투자 열기를 중소형주에 끌고 와야 국내 주식시장이 성장할 수 있다. 정책 실행과 신뢰 회복이 이뤄지면 ‘천스닥(코스닥 1000)’ 시대도 가능하지 않을까.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