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남단 일대 경제자유구역 지정…“대규모 아파트 단지 전락 우려”

장현일 기자 (hichang@dailian.co.kr)

입력 2025.10.27 13:22  수정 2025.10.27 13:22

허종식, 주거 용지 비율 13.3%,…청라 13.1%, 영종 12%, 송도 8.1%보다↑

강화도 남단 경제자유구역 예정지 위치도 ⓒ 인천시 제공

인천 강화도 남단 일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사업이 대규모 아파트 개발로 전락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7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개발 계획상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6.32㎢)의 주거 용지 비율은 13.3%(0.84㎢)다.


이는 기존 경제자유구역의 주거 용지 비율 청라 13.1%, 영종 12%, 송도 8.1%보다 높은 수준이다.


강화 남단의 계획 인구는 2만 9679명으로 주거 용지 대비 인구밀도는 1㎢당 약 3만 5000명이다.


이는 영종의 인구 밀도 2만 9000명보다도 높아 산업 중심 개발이라는 경제자유구역의 취지와 달리 고밀도 아파트 단지 개발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허 의원은 주장했다.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의 산업 용지 면적은 155만 9515㎡로 전체 면적의 24.6%를 차지하지만, 영종 미개발지 검단2일반산단, 계양테크노밸리, 부천 대장신도시 등 인근 산업 용지들과 기업 유치를 놓고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러한 우려 때문에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 자문회의에서도 지난해 10월과 지난 4월 기업 유치의 불확실성을 지적하는 의견이 나왔다.


이러한 지적에 인천경제청은 "셀트리온·롯데바이오로직스 등 42곳, 중국 바이두 외 52곳, 가천길재단 외 3곳 등 97곳이 입주 의사를 밝혔고 지속해 투자 유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허 의원실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투자의향서(LOI)나 양해각서(MOU)가 구속력 있는 협약이나 토지 매매계약으로 이어진 전례가 많지 않다"며 "인천경제청이 제시한 대기업 LOI 역시 실제 기업 유치로 연결될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이어 "인천경제청은 송도 11공구 땅 매각 수입 등을 재원으로 1조 3000억원 안팎을 우선 투입해 강화 남단 부지를 매입할 예정"이라며 "막대한 재정 투입 전에 실질적인 투자 수요 확보와 사업 계획 전면 재검토가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장현일 기자 (hichang@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