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플랜’…5년 역내 경제협력 로드맵 제시
기획재정부는 21일 인천에서 제32차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재무장관회의를 개최했다.
APEC 재무장관회의는 지난 2005년 이후 20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됐다.
이번 재무장관회의에는 태국, 호주, 뉴질랜드, 베트남, 홍콩, 대만 등 주요국 재무장관과 중국, 일본, 브루나이 재무차관 등이 참석해 역내 경제협력 방향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미주개발은행(IDB) 등 국제기구에서도 참여해 선도 사례를 발표하고 향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정책 불확실성, 인구·기후 이슈 등 역내 여러 도전요인에도 불구하고 연대와 통합이라는 APEC의 기본 정신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회원들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어진 본회의에서는 세계·역내 경제전망, 디지털 금융, 재정 정책 세션을 주재하고 마지막으로 논의 결과를 종합해 공동성명과 향후 5년간 역내 경제협력방향을 담은 로드맵인 ‘인천 플랜(Incheon Plan)’을 21개 회원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인천 플랜은 재무장관회의에서 두 번째로 수립된 로드맵으로, 2015년 필리핀 세부 재무장관회의에서 수립된 세부(Cebu)액션플랜 로드맵이 올해 종료됨에 따라 오는 2026~2030년 향후 5년간 재무장관회의에서 논의할 주요 주제와 하위 의제들을 정한 것이다.
내년 중국을 포함해 앞으로 5년간 APEC 의장을 맡게 될 회원은 인천 플랜이 제시한 의제 중 해당 연도의 우선순위를 자유롭게 선정·논의하게 된다.
한국은 재무장관회의 최초로 인공지능(AI)을 핵심의제로 제시하며 AI 인프라 및 인재 개발, 민간 협력, AI 생태계 지원과 이를 위한 공조 필요성을 합의문에 담는 성과를 도출했다.
또 연구개발(R&D) 확대 등 혁신 생태계 조성, 소상공인 금융 지원, 자본시장 선진화, 경제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재정의 역할 등 한국의 정책 방향이 향후 APEC 경제분야 논의와 높은 정합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협의를 주도했다.
또 재무장관회의에서 산발적으로 다뤄오던 금융 포용 논의를 확장해 모두를 위한 접근성과 기회를 인천 플랜의 단독 주제로 두기로 합의했다.
향후 APEC 경제분야 논의가 성장에만 집중되지 않고 공정하고 포용적인 접근을 고려해 한층 풍부한 토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재무장관들의 합의는 APEC 정상회의를 일주일 앞둔 시점에서 극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주요국 통상정책, AI 기술패권 경쟁 등 글로벌 질서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대화와 상호 존중을 통해 정책 공조와 역내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논의의 장으로서 APEC의 역할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한편, 구 부총리는 호주(짐 차머스), 뉴질랜드(니콜라 윌리스), 베트남(응우옌 반 탕), 홍콩(폴 찬) 등 주요국 재무장관과 양자 면담을 갖고, 공급망 협력 강화, AI 혁신을 비롯한 구조개혁 방향, 우리기업 활동 지원 등 경제협력 방안, 글로벌 경제 동향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
아울러 국내 AI 등 주요 기업·기관이 참여한 기업전시회도 성황리에 진행되고 있다.
이번 전시는 APEC 재무장관회의의 주요 의제와 연계해 ▲디지털 전환·AI 혁신 ▲디지털 금융 및 금융포용 강화 ▲지속가능한 내일이라는 테마로 전시부스를 기획·조성했다.
이를 통해 AI 연산 반도체(정보통신산업진흥원), 고령층 돌봄형 AI 서비스 AI 케어콜, 데이터 기반 기업금융 지원사례 등 국내 혁신기술을 국제사회에 적극 홍보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기재부는 2일차인 22일에는 APEC 최초로 재무와 구조개혁장관들이 공동으로 ‘혁신과 디지털화’를 주제로 합동세션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어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 재무, 구조장관들이 모이는 합동 오찬을 개최하고 오후에는 구조개혁장관회의 본회의를 개최해 구조개혁 역할과 향후 방향, 역내 연결성 강화를 위한 구조개혁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