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구축기업 절반 "제조공정 AI 도입 필요"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입력 2025.10.19 13:30  수정 2025.10.19 13:30

중기중앙회 '스마트공장 구축 中企 AI도입 의견조사' 결과 발표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제조업체의 절반 가까이가 제조 공정에 AI 도입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5년간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 502개사를 대상으로 실시(9월 16~30일)한 ‘스마트공장 구축 중소기업의 AI도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제조업체의 47.4%는 ‘제조 공정에 AI 도입이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보통’이라고 응답한 업체까지 포함하면 제조 AI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78.5%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이 기초(38.8%)에서 고도화(58.4%)로 높을수록 AI 도입 필요성 인식이 더 높았다.


AI 도입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는 ▲품질관리(33.9%) ▲생산 최적화(32.3%) ▲공정 자동화(31.9%) 순으로 생산 현장의 효율성 제고와 품질향상에 대한 니즈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AI 도입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초기 비용 부담(44.2%) ▲전문인력 부족(20.5%)으로 나타나 중소 제조기업 현장에서는 AI 도입 비용과 전문인력 문제가 가장 큰 장벽으로 확인됐다.


실제, AI 도입으로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기 위한 투자 의향 금액은 ‘1억원 이하’가 68.9%로 가장 많았다.


이런 현실적 어려움에도 응답기업의 54.6%는 정부가 AI 기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AI팩토리) 신설 시, (적극) 참여하겠다고 응답해 정부의 AI 대전환 지원사업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특히, 기존 구축한 스마트공장의 수준이 기초(47.4%)에서 고도화(63.2%)로 높아질수록 AI 사업 참여 의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중소제조업의 AI 도입에 가장 필요한 지원은 ▲직접적인 자금 지원(72.3%) ▲AI 전문 컨설팅(21.9%) 등 순으로 응답해 AI 솔루션 도입 비용, 관련 인프라 구축 등 ‘직접적인 자금 지원’이 가장 절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통해 구축한 스마트공장의 실제 활용 여부에 대해 응답기업의 77.1%가 ‘잘 활용하고 있다’로 응답해 전반적으로 높은 활용도를 보였다.


스마트공장 구축 결과로 가장 만족하는 것은 ▲생산성 증가(42.0%) ▲작업환경 개선·산업안전 향상(36.1%) ▲공급망 관리·재고 관리 효율성(25.5%) ▲품질 향상(25.3%) ▲원가절감(14.9%) 순으로 응답했다. 스마트공장 운영에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전문 운영인력 부족(43.8%) ▲높은 유지관리 비용(25.9%) 순으로 꼽았다.


제조 공정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64.5%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고, 58.3%는 제조 공정 데이터를 활용·분석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스마트공장 수준이 높을수록, 매출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데이터 수집(82.1%), 활용·분석(78.6%)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제조 공정 데이터의 수집 및 활용·분석의 어려움으로는 ▲담당자·전문인력의 부족(50.4%) ▲생산설비 노후화·시스템과 현장의 괴리(28.5%) ▲시스템 유지관리 비용 부담(24.7%) 등 순으로 조사됐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이번 조사는 최근 5년간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업체 502개사의 응답으로 나타난 조사결과로 의미가 있다”며 “스마트공장의 실제 활용도나 데이터 수집·분석 현황 등이 업체별 공장 수준과 상황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 AI 대전환을 위한 제조 AI 도입 지원 뿐 아니라 기초 수준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원도 지속하는 투 트랙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또 “조사결과로 나타난 중소기업이 부담으로 느끼는 AI 도입 비용과 스마트공장·AI 기술 전문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해 AI 패권시대 대한민국 제조혁신을 중소기업이 선도할 수 있도록 정부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