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도입 초기 투자비 절감·데이터 활용 교육 등 지원 방안 제시
AI 기반 지능형 환경 관리·작물 자동 계측 등 스마트농업 확산 추진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한 중점 추진 과제의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10월 15일 전남 영암의 무화과 스마트팜 청년 창업 농가를 방문해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안정 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번에 방문한 청년 창업 농가는 지난해 스마트팜을 구축해 무화과를 재배하며 백화점과 온라인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이 청장은 데이터 기반 스마트팜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농장 운영 상황을 자세히 들었다.
농가 대표는 청년 창업농과 귀농인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 청장은 이에 공감하며 스마트팜 도입 초기의 시설 투자비 절감 방안과 생육 관리 데이터 분석·활용 교육 지원책 등 다양한 지원 방향을 제시했다.
이 청장은 “최근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스마트팜 융합 모형을 적용하면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설치비 부담을 줄이고, 개별 스마트팜 기술을 선택하거나 묶음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기술이 보급되면 스마트팜 환경 관리의 지능화, 농작업 자동화, 에너지 최적화가 가능해 작물 생산성과 농가 소득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능형 환경 관리, 작물 생육 자동 계측, 병해충 예찰·진단, 에너지 모니터링 기술 등을 상용화해 스마트농업 체계를 확립하겠다”며 “이를 통해 농업인 부담을 줄이고 작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전라남도농업기술원 관계자도 동행해 “청년들이 초기 투자 부담 없이 안정적으로 영농에 정착할 수 있도록 벤처 창업 교육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귀농인, 청년 창업인, 초보 농업인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팜 융합 모형을 개발해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이 모형을 적용하면 우수 농가와 유사한 수준의 작물 관리가 가능해 높은 소득을 안정적으로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