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입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10위로 내려앉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지난 1월 출범한 이후 고강도 관세 정책을 시행한 것과 무관치 않은 결과로 분석된다.
8일 한국무역협회가 미국 상무부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미국의 10대 수입국 순위에서 한국은 10위를 기록했다.
이 기간 미국은 한국에서 756억 달러어치 상품을 수입했다. 이는 미국의 전체 수입액 중 3.7% 수준이었다.
같은 시기 한국보다 앞선 미국의 1~9위 수입국은 멕시코(15.0%) 캐나다(11.2%) 중국(9.4%) 베트남(5.2%) 대만(4.9%) 아일랜드(4.6%) 독일(4.5%) 일본(4.2%) 스위스(4.2%)였다.
한국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하기 직전인 지난해 4.0% 비중으로 7위를 차지했지만 올해 10위로 밀려났다.
이는 무역협회가 관련 자료를 분석해 관리하는 198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한국은 2009년부터는 15년간 꾸준히 6~7위 자리를 지켜왔다.
한국의 미국 수입 시장 내 급격한 순위 하락은 트럼프 행정부의 전면적인 관세 정책의 부정적 영향을 경쟁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한국보다 순위가 낮았던 대만과 아일랜드, 스위스가 올해는 한국을 추월했다.
특히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부분에서 한국과 경쟁하는 대만의 경우 순위가 지난해 8위(3.6%)에서 올해 1~7월 5위(4.9%)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대만은 트럼프 행정부와 무역 합의가 완료되지 않아 20%의 상호관세를 임시로 부과받고 있지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의 경우 별도의 품목 관세 부과 대상이기 때문에 아직 수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
한국의 미국 수입 시장 내 입지 축소는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 철강, 기계 등 상품이 직·간접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 대상이 되면서 받는 영향이 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자동차·반도체 등 제조업이 발달해 한국과 무역 구조가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는 일본 역시 지난해 5위에서 올해 1~7월에는 8위로 한국과 마찬가지로 세 계단 밀렸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