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협약 체결… 석유화학 구조혁신 지원 본격화
권대영 “자구노력 안 보인다… 채권단도 한계 있어”
“연말까지 기다릴 수 없다… 구체적 재편안 제시해야”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석유화학 재편을 위한 채권단 협약식에서 사업재편을 위한 석화업계의 자구노력이 보이지 않아 우려된다며 자발적인 자구노력을 보여달라고 일침했다.
은행연합회는 30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17개 은행 및 정책금융기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과 함께 ‘산업 구조혁신 지원을 위한 채권금융기관 자율협의회 운영협약’을 맺었다.
금융권은 이번 협약을 통해 경영난에 부딪힌 석유화학 산업의 사업재편을 돕는 금융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권 부위원장은 우리나라 핵심 기간산업인 석화기업의 주채권은행들을 향해 성공적인 사업재편을 위해 적극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석유화학은 산업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산업 특성상 기업들의 자산과 여신규모도 상당하다”며 “이러한 기업간, 채권단간 이해관계를 조정해 사업재편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은 난이도가 매우 높은 작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석화기업의 주채권은행들에게 부탁드린다. 석유화학산업은 우리나라 핵심 기간산업”이라며 “성공적인 사업재편을 위해 각별한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지원해 달라”고 말했다.
권 부위원장은 금융권 지원의 틀이 마련된 상황이나 석화기업들이 자율적인 사업재편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며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채권금융기관도 ‘조력자’로 머무르기 어려울 것이라고 일침했다.
그는 “아직 산업계가 제시한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산단별, 기업별 구체적 감축계획과 자구노력의 그림이 보이질 않는다”며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고 직격했다.
또 “석유화학 업계의 자율적인 사업재편이 때를 놓치면 채권금융기관의 역할도 ‘관찰자, 조력자’로만 머무르기 힘들 것”이라며 “시장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연말까지 기다릴 것 없이 시장에서 석화산업에 대한 의구심을 걷어내고, 기업의 의지와 실행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업재편 그림을 조속히 보여달라”고 당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