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조선업 성공 모델 따라 경쟁력 회복 가능할까

임채현 기자 (hyun0796@dailian.co.kr)

입력 2025.09.23 16:54  수정 2025.09.23 16:54

23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민관 정책토론회

산업 현장 "기술 유출 처벌 강화 반드시 필요"

"조선업처럼 집중 지원해야" 목소리도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디스플레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임채현 기자

압도적 1위를 수성했던 한국 디스플레이 시장이 중국 업체들의 추격으로 기울기 시작한 가운데, 한국 디스플레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기술 유출 처벌 수위 강화, 세액 공제 이월 기간 연장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아울러 과거 조선업의 사례와 같이 특별법을 제정해 집중적인 정부 지원으로 회생시켜야 한다는 업계 목소리도 나왔다.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토론회'에는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위기를 진단하기 위해 정부·국회·산업계·학계가 모였다. 특히 기업 현장 관계자들의 경우 '세액 공제 이월기간'과 '직접환급형 세액 공제' 등을 특별히 강조하며 정책 지원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박준영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은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의 세액공제 이월 기간은 10년으로 너무 짧아 투자에 제약이 많다"며 "미국·유럽 수준인 20년 이상으로 확대해야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투자가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산업기술 유출에 대한 처벌도 대폭 강화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한구 LG디스플레이 그룹장은 "기술 투자가 굉장히 중요한데, 현실적으로 이런 기간 산업의 경우 조 단위의 투자가 일어나기에 투자를 한 당해에 아무리 사업이 잘되더라도 막대한 투자 비용으로 인해 기업이 힘들다"며 "직접환급제와 세액공제 권리 양도제 도입을 통해 기업이 적자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디스플레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린 가운데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모습.ⓒ임채현 기자

김병욱 동진쎄미켐 사장은 "국산 소재·부품 사용 시 세액공제 인센티브 등 실질 지원이 필요하며, 중소기업과의 상생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디스플레이 장비 기업인 에이치비테크놀러지의 문성준 대표 역시 "일본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디스플레이 특별법 제정으로 산업 전체를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은 연간 매출 60조 원, 수출 187억 달러에 이르는 국가 핵심 기간산업이다. 그러나 LCD 시장 1위 자리는 이미 중국에 내준 상황으로, OLED 분야에서도 중국의 추격이 빠르게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해 토론회를 주최한 이재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중국의 빠른 추격과 추월하는 영역이 나타나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며 "한 발 더 앞서지 않으면 미래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진한 옴디아 이사는 "디스플레이 산업은 매출 대비 면적 기준이 더 중요하며, AI·자율주행 등 융합 신시장이 성장 동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모바일 OLED 분야는 내년 중국 점유율이 한국을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상진 한국디스플레이협회 상무는 "과거 조선업에 대해 정부가 막대한 지원을 쏟아부어 기울어지던 산업을 일으켜세운 바 있고 결국 최근 이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중요한 대미 전략 카드로 쓰인 바 있다"며 "디스플레이 역시 이러한 정부 지원으로 반드시 되살려야 하는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준 산업연구원 경영부원장은 "중국은 엄청난 정부 지원과 보조금으로 빠르게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한국은 기존 초격차 전략에 의존하기보다 차세대 기술, 공급망 안정, 산업 생태계 강화 등 다각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지난 22일부터 이틀간 국회의원회관 제2로비에서 'K-디스플레이 산업 전시회'를 개최하고 국회 내 산자중기위 소속 주요 의원들을 초청해 디스플레이산업에 대한 정책 지원 필요성을 알렸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임채현 기자 (hyun079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