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매매 실종, 거래 10년 새 80.5%→15.8%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입력 2025.09.22 10:38  수정 2025.09.22 14:12

ⓒ뉴시스

서울에서 6억원 이하 가격대의 아파트가 급격히 줄며 주거 사다리가 붕괴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2일 집토스가 2015년부터 올해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서울 전체 거래에서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차지하는 거래 비중이 2015년 80.5%에서 올해 15.8%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계획까지 고려하는 신혼부부 등 2인 이상 가구의 경우 이 비중이 더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가구에 필요한 최소 주거 면적인 전용 50㎡ 이상으로 조건을 좁히자, 6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2015년 78%에서 올해 9.2%까지 추락했다. 10년 만에 신혼부부가 구매를 고려할 만한 아파트 시장이 8분의 1 이하로 쪼그라든 것이다.


특히 자치구 별 거래를 살펴보니 강남구(0.1%), 서초구(0.1%), 성동구(0.1%), 용산구(0.1%), 마포구(0.7%), 송파구(0.5%) 등 6개구에서는 6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1% 미만으로, 사실상 소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중산층의 주거지로 여겨지던 동작구(1.1%), 영등포구(1.2%), 동대문구(5.0%) 등을 비롯해 서울의 13개 구에서 6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5% 이하로 집계됐다.


현재 6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30%를 넘는 곳은 도봉구(60.3%), 금천구(50.5%), 강북구(34.7%), 노원구(32.7%), 중랑구(32.6%) 등 5개 구에 불과하다. 청년 및 신혼부부의 주거 선택지가 서울 외곽으로 극단적으로 쏠리고 있는 셈이다.


이에 정부의 주거 안전 정책이 실효성을 잃어간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표적인 서민과 청년층의 지원정책인 ‘보금자리론’의 경우 대상 주택이 6억원 이하지만, 서울에서는 이 대출로 살 수 있는 아파트 자체가 사라지고 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데이터는 단순히 집값이 오른 것을 넘어, 청년 세대가 서울에서 생애 최초 주택 구매로 진입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발판 자체가 사라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시장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정책은 청년들의 박탈감만 키우므로 대출 기준의 현실화와 함께, 청년과 신혼부부가 실제로 접근 가능한 주택 공급 방안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