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송아지 단계부터 능력 조기 예측 추진
사육비 절감·맞춤 교배로 낙농가 생산성 확대
디엔에이(DNA) 정보를 활용한 유전체 선발 기술이 국내 젖소 유전능력평가에 적용돼 능력이 우수한 젖소를 기존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게 됐다.
농촌진흥청은 젖소 부모·선조의 혈통 정보와 우유 생산기록을 토대로 평가하던 기존 방식에 DNA 분석 결과를 반영한 새로운 국가단위 유전체 유전능력평가 체계를 완성했다고 17일 밝혔다.
젖소 개량은 품질 좋은 우유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낙농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추진된다. 국립축산과학원은 가축개량총괄기관으로 젖소 국가단위 유전능력평가를 수행하며, 산유량이 많고 품질 좋은 우유를 생산하는 유전능력을 가진 씨수소를 선발·개량하고 있다.
기존 평가는 송아지의 혈통 자료만 활용해 정확도가 낮았다. 이번에 개발된 유전체 유전능력평가는 혈통·생산기록에 더해 개체별 DNA 정보를 반영해 정밀도가 높아졌다. 농촌진흥청은 농림축산식품부,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 한국종축개량협회와 협력해 젖소 2만4000두의 유전체 자료를 수집·검증했다. DNA 품질검사와 부모-자식 간 정보 일치 여부 확인 등 검증을 거쳐 신뢰성도 확보했다.
같은 부모에서 태어난 자매 젖소가 동일한 능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됐던 기존 방식과 달리, 새 체계에서는 DNA 차이에 따라 개체별 능력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 어린 송아지의 유전능력평가 정확도는 기존 25%에서 60%로, 평균 35%포인트 향상됐다.
또 씨수소 선발에 유전체 평가를 적용하면 송아지 단계에서 능력을 예측할 수 있어 정액 생산이 가능한 1.5년 이내 선발이 가능하다. 이는 평균 5.5년이 걸리던 기간을 대폭 단축해 세대 간격을 줄이고 젖소 개량 속도를 높인다. 낙농가도 암송아지의 능력을 조기 평가해 우수 개체는 맞춤형 교배로 생산성을 높이고, 능력이 떨어지는 개체는 일찍 판매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실제 암소가 우유 생산 능력을 갖추고 실제 생산까지 약 3년이 걸리며, 이 기간 사육비는 1768만원에 달한다. 같은 기간 우유 판매 수입은 1187만원에 그쳐 마리당 581만원 손실이 발생한다. 송아지 시기에 유전체 평가를 활용하면 이런 손실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와 협력해 농가 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농가가 분석을 신청하면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가 유전체 분석을 진행하고, 국립축산과학원이 평가를 수행해 결과를 다시 농가에 제공한다.
농촌진흥청은 유전체 유전능력평가가 국가 개량 체계 혁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으로 유전체 자료 수집 규모를 연간 1000두에서 3000두로 확대해 평가 정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김진형 국립축산과학원 부장은 “한우에 이어 젖소에서도 우수 종축을 조기에 선발할 수 있는 유전체 선발 기술을 적용하게 됐다”며 “국립축산과학원은 국가대표 축산 연구기관으로서 씨수소 개량 체계 개선과 낙농가 현장 활용 확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