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은 올해 정책 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시 생활권계획 수립 및 운영 방안’ 연구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이 보고서를 토대로 시민 체감형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생활권계획의 체계적 수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해 2월 개정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생활권 계획이 법정 계획으로 신설됨에 따라, 시는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을 연계하는 중간단계 계획으로서 생활권계획의 제도화 및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인천은 광역시 중 가장 넓은 면적을 갖고 있으나, 지금까지 2단계 도시계획 체계(도시기본계획·도시관리계획)로 운영돼 시민의 실질적인 생활권 관리를 위한 계획수단이 부족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연구원은 이번 ‘생활권’을 중심으로 도시공간을 재 구조화하고, 자치구 중심의 계획 수립을 제안했다.
생활권은‘권역생활권(대생활권)’과 ‘지역생활권(중생활권)’,‘일상생활권(소생활권)’으로 세분해 보행과 자전거로 접근이 가능한 단위부터 광역기반시설이 집적되는 중심지까지를 아우른다.
주요 계획 항목은 인구 배분계획, 생활SOC 확충, 주택・교통・녹지계획, 지역 특화사업 발굴 등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도시 내 불균형 해소와 주민 삶의 질 제고를 도모하는 계획 마련을 제안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