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싸고 게으른…" 금발의 매혹女 데뷔하자 비난 쏟아진 이유

이지희 기자 (ljh4749@dailian.co.kr)

입력 2025.08.04 23:07  수정 2025.08.04 23:07

미국 패션잡지 보그(Vogue) 8월호에 등장한 금발 여성 모델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31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보그 미국판 2025년 8월호에 실린 의류 브랜드 게스(Guess) 광고에 인공지능(AI) 모델이 출연해 패션업계와 소비자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CNN

광고에는 금발 백인 여성 모델이 줄무늬 원피스와 가방을 들고 활짝 웃으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별다른 문제가 없어 보이는 이 광고의 하단에는 작게 'AI 생성 모델'이라는 글귀가 들어가 있다.


이번 광고는 게스 측이 세라핀 발로라(Seraphinne Vallora)라는 회사에 AI 모델 제작을 의뢰해 만들어졌다. 10명의 후보 중 금발 모델 '비비안'과 흑발 모델 '아나스타샤'를 택했고 둘 중 비비안을 최종 선택한 것이다.


일부 소비자들은 "모델이 부족한 것도 아닌데 왜 AI 모델을 쓰나", "실존하지 않는 AI 모델이 패션잡지에 등장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 등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또한 "실존하지도 않는 사람과 (나를) 비교해야 하나"라는 한 소셜미디어(SNS) 댓글에는 6만개 이상의 '좋아요'가 달렸다. 보그와 게스를 상대로 불매 운동을 펼치겠다는 소비자도 등장했다.


10년 넘게 활동해 온 모델 펠리시티 헤이워드는 AI 모델과 관련해 "게으르고 값싼 방식처럼 느껴진다"고 지적했다.


ⓒCNN

이에 보그 측은 "AI 모델이 본지의 편집 기사에 등장한 적은 없다"고 CNN에 해명했다. 광고이기 때문에 보그와 관련 없다는 취지다.


광고를 제작한 세라핀 발로라의 공동 창립자인 발렌티나 곤잘레스와 안드레아 페트레스쿠는 "논란이 과장됐다"고 주장했다. 페트레스쿠는 "우리는 여전히 실제 모델도 기용하고 있다"며 "AI 이미지는 실존 모델의 포즈와 의상 핏을 기반으로 생성된다"고 해명했다.


제작 과정에서는 실제 모델이 게스 의상을 입고 촬영에 참여했으며, 광고 제작사는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AI 이미지를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AI 모델은 게스만 사용한 게 아니다. 망고(Mango), 리바이스(Levi’s) 등 여러 글로벌 브랜드가 이미 도입한 바 있다. 망고는 10대 대상 의류 광고에 AI 모델을 활용했고, 리바이스는 다양한 체형과 피부색을 반영하기 위해 AI 모델을 실험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CNN은 "이 같은 흐름은 단순히 모델 산업뿐 아니라 사진작가, 메이크업 아티스트 등 패션 생태계 전반의 일자리를 위협할 수 있다"며 "AI 모델이 대체로 백인 중심의 미적 기준을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미의 다양성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이지희 기자 (ljh4749@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