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3.5∼6.7 여진 지속
규모 8.8 강진이 강타한 러시아 극동 캄차카반도에 하루 약 120회의 여진과 화산 폭발이 이어지고 있다. 활발해진 화산 활동으로 빙하가 녹게 되면 이상 기후 발생으로 인한 연쇄반응이 이어질 가능성에 우려가 제기된다.
현지시간 1일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비상사태부는 "강진 이후 지난 하루 동안 캄차카에서 규모 3.5∼6.7 여진이 약 120회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30일 캄차카반도 바다에서 규모 8.8 강진이 일어난 영향이다. 1952년 이후 가장 강력한 규모의 지진으로 기록된다. 강진 당일 캄차카반도와 북반구에서 가장 높은 활화산인 클류쳅스카야가 분화해 붉은 용암이 서쪽 경사를 따라 내려오고 있다고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지구물리연구소 캄차카지부가 전했다.
비상사태부는 캄차카의 베지먀니, 시벨루치, 클류쳅스카야, 카림스키 화산에 접근하지 말고 아바친스키 화산 방문을 자제하라고 당부했다.
이 지진 이후 캄차카반도 화산들의 활동도 활발해졌다. 캄차카반도 클류치 마을 화산감시소의 유리 데미안추크 소장은 타스 통신에 "클류쳅스카야 화산은 4월부터 분화하고 있었다"며 "이번 지진으로 화산 활동이 시작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확실히 활동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캄차카의 화산' 텔레그램은 클류쳅스카야 화산에서 흘러나온 용암이 이 지역 최대 빙하인 보그다노비치 빙하 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용암이 빙하와 만년설을 녹이면 인근 강 유역에 진흙더미가 쌓이고 수증기가 폭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외신에 따르면 캄차카반도는 '불과 얼음의 땅'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활화산 29개를 포함해 약 300개의 화산이 있어 연쇄 작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