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유튜브 간담회 개최
현지 생산시설 인수 위한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원가 절감 및 트럼프 관세 리스크 완전 해소 전망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29일 유튜브를 통해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셀트리온 유튜브 캡처
셀트리온이 미국 내 원료의약품 생산공장을 보유한 기업 인수에 속도를 내며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에 대한 정면 돌파를 선언했다. ‘메이드 인 USA’ 전략을 통해 관세 리스크를 차단하고 현지 생산을 통한 원가 경쟁력까지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제약사가 보유한 미국 현지 생산시설 인수를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29일 공시했다. 6개월의 협의 끝에 얻어낸 성과로 오는 10월 본계약을 거쳐 연내 인수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비밀 유지 조항에 따라 구체적인 기업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이날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미국 정부가 메이드 인 USA를 원한다면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해 판매하는 것이 우리의 기본 방침”이라며 “이번 인수는 관세의 불확실성을 모두 털어내고 미래 제품까지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정을 맺지 않은 국가들을 대상으로 15~20% 수준의 관세를 일괄 부과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한국의 관세 협상 시한은 오는 8월 1일까지다.
의약품과 관련해서는 초기에는 낮은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고 이후 미국 내 생산시설을 구축하도록 유도한 뒤 점진적으로 관세를 높이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했다.
서 회장은 이와 같은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선택지를 ▲미국 시장 철수 ▲세금을 내고 판매 ▲현지 투자 후 판매 등 세 가지로 압축했다. 그는 “미국이라는 시장은 포기하기엔 너무 큰 시장”이라며 “관세가 어떻게 진행되든 현재와 미래의 제품을 메이드 인 USA로 만들어 팔 준비를 사실상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앞서 셀트리온은 지난 5월 간담회에서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2년치 재고 확보 ▲미국 내 위탁생산(CMO) 기업과의 계약 체결 ▲자체 생산시설 확보 등 다각적인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서 회장은 “이미 미국 내 원료의약품(DS) 1곳, 완제의약품(DP) 2곳 등 CMO 회사 3곳과 계약을 맺어 제품을 공급 받고 있다”며 “여기에 자체 시설까지 갖추게 되면 관세 리스크는 거의 해소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의 공격적인 현지 생산 전략은 폭발적으로 증가할 미국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결정이다. 현재 11개인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는 2030년 22개, 2033년 41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서 회장은 “이 많은 제품을 생산할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며 “이번 투자는 현재 뿐 아니라 미래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번에 인수하는 공장은 이미 항암제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생산하고 있는 대규모 시설이다. 셀트리온은 향후 관세 정책 방향에 따라 3000억원에서 7000억원 규모의 증설 투자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목할 점은 인수 후에도 기존에 생산하던 제품을 CMO 형태로 공급하는 계약이 포함된다는 점이다. 서 회장은 “시설의 절반 정도는 기존 제품을 생산해 공급할 의무를 가진다”며 “이는 처음부터 적자 없이 흑자를 내면서 시설을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나머지 절반의 생산 능력은 셀트리온 제품 생산에 활용된다.
원가 경쟁력도 높아질 전망이다. 그는 “우리가 직접 운영하면 CMO를 이용하는 것보다 원가가 낮아질 것”이라며 “예비 조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 한국 생산 원가보다는 약간 높지만 아주 높지는 않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서 회장은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현지 생산 기반을 갖춘 기업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관세는 일종의 진입 장벽이 생기는 것”이라며 “현지 시설 투자를 조기에 완성한 회사 입장에서는 경쟁이 줄어들고 수익률도 호전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